간행물

교원교육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24권 제2호 (2008년 6월) 24

21.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1급 정교사 자격연수가 양성교육과 차이를 갖고 의미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자격연수 현황과 문제점을 알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7학년도까지 진행된 자격연수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2006학년도 연수생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면담과 인터넷 게시판 글을 정리하여 연구하였다. 중등학교 환경1급 정교사 자격연수는 2004학년도부터 2007학년도까지 총 4회 진행되었다. 진행된 연수의 교육과정은 연수원의 상황에 따라 교양, 교과교육, 교과내용 등의 교육과정이 다르게 구성되었고, 환경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연구자가 2006학년도 자격연수에 참여 면담한 결과 학교 현장에서 3년 이상의 경험을 갖춘 연수생들은 교사의 교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재교육을 목적이라고 생각하였으나, 실제 연수의 만족 요인으로는 교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재교육 보다는 다른 교사와의 만남을 중요한 만족도의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자격연수에서 연수생들은 교과교육학에 대한 최신의 정보와 교수․학습 영역의 연수를 원하였고, 환경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1순위로 환경교육철학 영역을 나타내 향후 자격연수에서 환경교육철학과 교수학습 영역을 중시하는 교육과정 운영이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1급 정교사 자격연수가 보다 의미있는 연수가 되기 위해 연수 수요자의 요구를 바탕으로 환경교육과가 설치되어 있는 대학에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연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22.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의 미술교육은 제6차 교육과정의 수업시수 단축, 제7차 교육과정의 고2, 3학년 선택교과로 전환, 규제와 간섭 중심의 미술교육정책과 행정, 다수의 사대 미술교육과의 일반미술과로 전환, 2003년 평가방식 전환정책 발표와 2007년 평가방식 전환과 평가기록 방법 변경의 훈령 개정고시 등 바쁜 변화를 동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대안은 교과교육의 정당성을 강화하면서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전환과 함께 교사의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21세기의 문화 중심시대에 부응하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의 방법론을 개발하여 새로운 변화에 대응해야 하며 기본 시수 확보를 위한 노력과 물리적 시설과 공간 확보가 따라야 한다. 학교현장의 역동적인 수업을 통한 미술교육의 진흥을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이나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 등 여러 문제도 원만하게 해결해야 한다. 교사 양성기관인 교․사대의 개혁과 변화도 수반되어야 하고 또한 미술교육학의 학문적 연구 성과도 현장교육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23.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시민 단체와 학계에서는 미디어 교육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그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것은 미디어 교육이 국가 경쟁력과 관계가 깊고, 그 사회의 문화와 맥을 같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역기능 또한 만만치 않다. 특히 현재의 청소년들은 가장 많이 미디어를 접하고 있지만 미디어를 읽고, 쓰고, 비평할 수 있는 미디어의 주인으로써 능력을 갖추었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교육이 제도권 교육속의 도입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학교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과 우리나라의 미디어 교육의 현황 및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성향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고 현재 미술교육에서 실시하고 있는 미디어관련 수업의 종류와 현황을 토대로 미술교육을 통한 학교 미디어 교육의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24.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scribes a theory-based instructional approach that aimed to overcome the gap between the geometrical level of thinking (van Hiele) expected in given assignments and students' level of thinking. The research formulated a method that enabled st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