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0

        201.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읽기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와 학습기술 검사에 포함된 읽기기술 구성요소를 검토하여 공통요소를 토대로 5개의 읽기기술 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읽기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읽기의 6단계를 설정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11회기의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한 학급을 실험집단에, 다른 학급을 통제집단에 28명씩 배치하고 실험집단의 학생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명철, 정태근(2001)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맞게 제작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했으며 양적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회기별 경험 보고서와 상담일지를 통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202.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운동부 선수들의 성취목표와 동기분위기 지각이 스포츠퍼슨십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438명의 남자선수가 스포츠 목표성향 검사지, 동기분위기 지각 검사지 및 스포츠맨십 검사지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측정도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일관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상호작용이 있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과제성향목표와 숙련분위기 지각은 운동선수들의 스포츠퍼슨십을 예측하는 강력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제성향×수행분위기, 과제성향×자기성향의 상호작용 효과가 최선, 동료배려, 판정존중 및 승부집착에서 나타났으며, 자기성향×수행분위기의 상호작용도 동료배려와 판정존중 및 승부집착에서 나타났다. 운동 몰입과 팀 정신, 결과인정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상황에서 지각된 동기분위와 성취목표가 운동선수들의 스포츠퍼슨십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203.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레슬링선수들의 입상유무와 소속팀 그리고 선수경력에 따라서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관리 및 스포츠자신감의 차이를 밝히며,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관리 및 스포츠자신감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제26회 회장기전국레슬링대회에 참가한 실업팀, 대학교, 고등학교에 소속된 409명의 남자선수이다. 조사도구는 성취목표지향성 질문지(TEOSQ), 운동선수자기관리 질문지(ASMO), 스포츠자신감 질문지(SSCQ)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 다 변인분석, 단일적 분산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취목표지향성에서 입상경험이 있는 선수, 실업팀, 선수경력이 많은 선수가 과제지향성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자기관리에서 입상경험이 있는 선수가 대인관리, 정신관리 그리고 훈련관리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실업팀이 그리고 선수경력이 많은 선수가 몸관리, 대인관리, 정신관리 그리고 훈련과리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스포츠자신감에서 입상경험이 있는 선수가 신체/정신적 준비의 자신감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실업팀이 능력입증, 사회적지지, 코치지도력 그리고 신체/정신적 준비의 자신감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선수경력이 많은 선수가 코치지도력, 신체/정신적 준비의 자신감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관리 및 스포츠자신감의 관계에 있어서 과제지향성이 자기관리의 하위요인 대인관리, 훈련관리, 몸관리 그리고 정신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제지향성과 자아지향성 모두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의 훈련관리, 대인관리, 몸관리는 능력입증과 사회적지지를, 몸관리와 대인관리는 코치지도력을 대인관리, 몸관리, 정신관리 그리고 훈련관리는 신체/정신적 준비의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6.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조상들이 생활 속에서 향유해온 문학인 설화 중, 교육 활동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거두는 이야기인 교육성취담의 서사 전개 양상을 분석해보고 그 특징과 의미를 밝혀봄으로써 설화의 전승 집단인 우리 조상들의 교육관에 대해서 규명해보는 것이다. 먼저 많은 설화 중에서 교육이 직접적인 소재가 되고,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긍정적인 변화활동이라 할 수 있는 교육의 정의에 부합할 수 있는 설화를 추출해 보았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성취를 이루는 이야기 몇 편을 뽑아 보았다. 다음으로 이들 이야기의 서사단락을 구분하고 그 전개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들을 첫째, 긍정적인 스승의 모습, 둘째, 교육방법 변화에 의한 성공, 셋째, 바람직한 의식 변화 등으로 묶어서 ‘교육성취담’으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이들 이야기들이 지니는 특징과 의미를 밝혀 보았다. 그 결과 교육성취담은 여러 지역에서 전승되면서 실제 인물이 등장하는 등의 개연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긍정적인 인간 형성, 스승에 대한 끝없는 신뢰, 교육 자체의 중요성 강조 등의 의미를 담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육성취담’은 스승에 대해 끊임없는 신뢰를 바탕으로 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인간이 형성될 수 있다는 설화의 전승 집단인 우리 조상들의 긍정적인 교육관이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7.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교체육 현장에서 성취성향과 운동몰입의 관계를 검증하여 학생중심 교육과정 실현과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계획하기 위하여 338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취성향질문지(LAPOPECQ)를 사용하여 성취성향을 측정하였고, 운동몰입도질문지(ESCM : Expansion of the Sport Commitment Model)을 사용하여 운동몰입도를 측정한 후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적률상관분석(Pearson′s r), 다중회귀분석(Multifu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취성향의 정도는 남학생과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몰입의 정도는 남학생과 고등학생이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성취성향과 운동몰입의 상관관계는 교사학습성향과 학생학습성향, 학생경쟁성향이 높을수록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의 정도가 강하고 노력없는 결과지향과 실수에 대한 걱정이 높을수록 인지몰입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성취성향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학습성향과 학생경쟁성향이 높을수록 인지몰입의 정도가 강하게 나타났고, 학생학습성향, 학생경쟁성향, 교사학습성향이 높을수록 행위몰입의 정도가 강하게 나타났다.
        208.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지를 개발하여 타당화 검증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문가 토론을 거쳐 Hermans(1970), Mehrabian(1968), 김신영(1982), 유창열(1985), 황정규(1984)의 성취동기 질문지에 대한 문항을 통합하였고 유아의 면접조사과정을 거쳐 유아에게 적합한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 문항을 추출하였다. 100명의 유아에 대한 예비조사를 토대로 포부수준, 적절한 모험성, 열정성, 성취과제 선호성, 경쟁성, 책임감, 자신감, 인내 요인의 21문항을 선정하였고 서울 지역 국ㆍ공립 유치원 8곳의 만 5, 6세 유아 500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부모와의 응답을 통한 유아 250명의 자료에 대하여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주성분분석, 직각회전)과정을 거쳐 5개요인(포부수준, 모험성, 성취과제 선호, 자신감, 인내심)의 15문항을 추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가설화된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의 5요인 15문항에 대한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 250명에 대한 자료를 추가하여 AMOS 5.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대우도모수 추정 값과 측정 모델에 대한 적합도 지수 등을 토대로 유아의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지의 구조는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지에 대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r=.68로 적절하게 나타났으며 수행관련체력과의 유의한 상관은 준거관련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다집단 분석을 통하여 스포츠 성취동기는 남녀 유아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스포츠 성취동기의 요인에 대한 잠재평균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09.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운동선수들이 한국과 중국 운동선수들이 좋아하는 리더십유형과 성취동기, 운동몰입 그리고 코치의 지도효율성의 차이 및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양국 간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한국스포츠 지도자들에게 중국선수들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중국 중․고등학교 단체경기의 구기종목(축구, 농구, 배구) 남․여 운동선수 각 500명씩 총 1000명을 조사하였다. 기초배경조사로써 국적, 성별, 연령, 운동경력, 참여운동종목, 주당연습시간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로는 Bass(1985)와 Wright(1996)의 변혁적 리더십설문지, Bass(1985)가 개발한 거래적 리더십질문지, Willis(1982)가 개발한 성취동기 질문지, Meyer와 Allen(1984)이 개발한 운동몰입 질문지, Duda와 Nicholls(1989)가 개발한 지도효율성 질문지들로서, 이들의 척도는 5점 리커트식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연구문제는 첫째, 국가별․성별에 따른 학교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리더십유형의 차이와, 둘째,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성취동기, 몰입, 지도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셋째,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성취동기, 운동몰입, 지도효율성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한국선수들과 중국선수들이 지각하는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은 문화적 특성에 의해 다르게 나타났고, 또한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은 성취동기, 운동몰입, 지도효율성에도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그리고 관련된 매개변인․종속변인들 간에 인과 관계가 있었다.
        210.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important to facilitate consumers" purchases of EAP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or establishing the successfu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sent state of some potentially influential factors on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s of EAP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 total of 299 Gwangju citizen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during September and October, 2007. Urgent improvement efforts are needed for “reliability about the safety of the EAP”, “reliability on EAP certification mark”, “credibility of EAP producers”, and “growth of EA”. Respondents also seem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 EA activation.
        211.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2×2 성취목표지향성 이론을 반영한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의 네 가지 목표들이 교양체육수업에 참가하는 대학생들에게 어떤 수준으로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에 하위목표들이 체육 내적동기와 자기조절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교양체육수업에 참가한 412명의 대학생(남=242명, 여=170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체육내적동기, 자기조절학습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가지 성취목표의 고, 저에 따른 16가지 유형의 프로파일 중에서 수행-숙달접근은 높지만 수행-숙달회피 성향이 낮은 6유형(20.6%)이 가장 많았다. 네 가지 목표 중에서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는 내적동기의 재미/노력 및 자기조절학습의 동기조절과 매우 의미 있는 정적 관계가 있었지만, 숙달회피와 수행회피는 부적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숙달접근 목표는 내적동기의 재미/노력, 유능감과 긴장에서, 자기조절의 동기조절, 행동조절과 인지조절에서 높은 예측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숙달접근-수행접근 목표가 교양체육수업의 이상적인 목표지향으로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212.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문계 고등학교 ‘정보사회와 컴퓨터’ 과목의 ‘자료표현’ 영역은 컴퓨터의 작동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영역이지만 학생들은 이 영역 학습을 매우 어려워하며 성취도도 낮은 편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보다 쉽게 ‘자료표현’ 영역을 학습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학습이 가능하고 실질적인 교수학습과정에 유용하도록 설계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자기조절학습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실제 교수 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자기조절학습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하였다.
        213.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에어로빅체조 중도 포기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여 성취목표성향이 운동포기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대한체육회의 산하 경기단체인 대한체조협회의 등록유무에 관계없이 2006년 현재를 기준으로 과거 1년 이상 국제 및 전국 규모의 에어로빅체조 대회에 출전한 경험이 있고 2006년 현재까지 에어로빅체조대회에 1년 이상 참가하지 않음은 물론 선수생활을 다시 할 생각이 없다고 반응한 운동포기자 141명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는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후 사용하였다. 성취목표성향 질문지는 Duda(1992)에 의해 개발된 성취목표성향질문지(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TEOSQ, 13문항)를 김병준(2001)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운동포기 척도는 성창훈(2002)이 개발한 스포츠 탈퇴요인 척도(40문항)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일원다변인 분산분석, 단일적 분산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경력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운동포기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은 운동포기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4.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 및 사회심리적 발달을 위한 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그리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2단계의 과정을 거쳤으며, 체육프로그램의 기본 모델은 학업성취 및 사회심리적 발달을 위한 ‘교수전략’과 ‘학습내용’으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참가 대상자는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중학생(n=76)으로 12주 동안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연구 방법을 혼합한 실험설계(parallel mixed method design)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학교생활만족도, 학교학습 태도, 학습동기, 수업평가의 일부 요인들에서 심리적 변화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심리적 변화를 이끌었다고 평가할 수는 없었다. 질적자료의 분석결과, 실험참가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다양한 재미와 흥미 요소를 경험하였다고 진술하였으며, 기존수업과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자기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수업을 구성하고, 적절한 교수전략 개발 및 게임상황에서 배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215.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leadership competences of rural leaders and to analyze leadership competency of leaders. The study carried out by questionnaire and focus group interview on expert panels. To analyze leadership competenc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73 rural leaders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SPSSWIN/ver10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data with t-test and IPA method. The study suggests twenty low types of leadership competences which were information, vision, decision making, motiv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residents, managing residents, loaming, flexibility, problem solving, presentation program management, customer orientation service knowledge, making relationship, creative idea, business understanding, brand development, conflict resolution negotiation, assessment, business management, coaching and feed back. Whereas leaders with middle school educational career required developing program management, maintaining achievement and benchmarking, leaders with high school were morel likely to develope self-learning, to benchmark their knowhow and brand development competency. Whereas leader with less low years experiences as leader have been considered as developing coaching/feedback brand development and program development, leaders with more five years as leader should consider developing benchmarking, resident education, and brand development. The study suggests that the extension agents on public should develop leadership program according to the competency differences of leaders.
        216.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육교육 상황에서 성취목표 이론은 숙련지향적 분위기가 수업에 대한 동기와 성취행동을 증진시킨다고 예상한다. TARGET 구조(과제, 권위, 인정, 집단, 평가, 시간)는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분위기를 조성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숙련 및 수행지향적 TARGET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육수업 현장에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성취목표 이론과 실제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140명의 중학교 남녀 학생들은 15차에 걸쳐 숙련(n=72)과 수행지향적 TARGET 프로그램(n=68)으로 구성된 체육수업(농구)에 각각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목표성향, 수업분위기, 내적동기, 농구수행은 수업 전과 후에 각각 측정되었다. 일련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성취목표 이론의 예상을 지지해 주고 있다. 수행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숙련 프로그램을 시행한 집단의 학생들이 더욱 유의한 숙련분위기 수준의 증진을 가져왔으며, 내적동기(흥미, 유능감)와 농구수행 역시 증가되었다. TARGET 프로그램의 효과를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업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적 면접을 시행한 결과 숙련 프로그램 집단들이 다양한 측면에서 그들의 체육수업을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성취목표 이론이 체육교육의 현장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해 주고 있다.
        217.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청소년 운동선수와 체육특기적성 교육에 참가하는 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맨십 행동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71명의 중등학교 운동선수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성향(TEOSQ)과 다차원적 스포츠맨십 성향(MSOS)을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는 성과 학교급 및 운동참가 수준별로 단순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맨십 간의 다차원적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며, 과제성향은 최선행동 및 팀 정신과 관련되었고 자아성향은 시합예의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두 변인간의 관계는 성과 학교급 및 참가수준에 따라 다소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Nicholls(1989)의 이론적 가정과 미래 과제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218.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성취 목표 성향과 동기 분위기 지각이 동기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6학년 운동선수 207명이었으며, 이들의 성취 목표 성향, 동기 분위기 지각, 동기 수준은 초등학생에 적절한 한국형 과제와 자아 성향 질문지(TEOSQ), 동기 분위기 지각 질문지(PMCSQ), 스포츠 동기 척도(SMS)에 의해 측정되었다. 변량 분석 결과, 남자 선수들은 과제 목표 성향이 여자 선수들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여자 선수들은 외적 동기의 범주인 외적 규제와 내적 규제에서 남자 선수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단계적 다중 회귀 분석 결과 1) 지식 획득 내적 동기는 과제 성향과 숙련 분위기 지각, 2) 성취 내적 동기는 과제 성향과 자아 성향, 숙련 분위기 지각, 3) 자극 체험 내적 동기는 과제 성향, 자아 성향, 4) 내적 규제는 자아 성향, 경쟁 분위기 지각, 5) 외적 규제는 자아 성향, 경쟁 분위기 지각, 6) 확인 규제는 자아 성향, 7) 무동기는 자아 성향, 경쟁 분위기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운동선수의 성취 목표 성향과 동기 분위기 지각이 동기 수준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래의 연구는 3가지 측정변인과 관련하여 연령에 따른 측면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219.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P300의 수행에서 성취 목표설정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121명의 남자 대학생이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Duda & Nicholls, 1989)를 성창훈(1995)이 한국어로 번안한 질문지를 통해 성취목표성향을 조사하여 이중 24명의 연구대상자를 선별하여 과제지향 집단(12명)과 자아지향집단(12명)에 할당되었다. P300의 자료는 12명의 과제지향 집단과 12명의 자아지향 집단을 비교하여 얻었는데, 200장의 사진(목표자극 40, 표준자극 160)을 무작위로 컴퓨터 모니터에 제시하여 연구대상자는 목표자극이 제시되었을 때만 버튼을 누르도록 하였다. 뇌파는 Fz, Cz, Pz 그리고 O1에서 P300의 진폭과 잠재기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과제(2)×영역(4)×자극(2)의 3원혼합분산분석(three-way factorial ANOVA)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P300을 분석한 결과 과제지향 집단이 자아지향 집단보다 P300의 진폭이 더 크고, 잠재기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과제지향 집단이 자아지향 집단보다 더 많은 주의와 더 빠른 반응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220.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성취목표의 선행변인으로서 Dweck이 제안한 능력의 암묵적 이론(implicit theory)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해보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Dweck(1986, 1991, 1996)은 성취목표성향 이면에는 능력이 노력을 통해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믿는지(향상믿음, incremental belief), 변화할 수 없는 믿음(고정믿음, entity belief)을 갖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가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육수업장면에서 이 가정의 타당성을 검증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학교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278명을 선정하였으며, 조사 도구로는 성취목표성향 척도와 능력의 암묵적 이론, 그리고 체육성적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능력의 암묵적 이론과 성취목표성향과의 관계에서는 향상믿음을 가질수록 학습목표를, 고정믿음을 가질수록 수행-회피목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능력의 암묵적 이론과 체육성적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리고 성취목표성향과 체육성적과의 관계에서는 학습목표와 수행-접근 목표 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수행-회피목표와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학습목표와 수행-접근목표를 가질수록 높은 체육성적을 받았으며, 수행-회피목표는 낮은 체육성적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