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0

        81.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y wine produced from domestic kiwifruit according to production year from 2008 to 2012 were studied. pHs of wine were from 4.02(F wine, production year 2009, sterilized) to 4.11(D wine, production year 2012, non-sterilized) and their acidities were lowest in D wine(0.79%) and highest in F wine(1.18%). All the wines have the same soluble solids of 8 °brix and 12% of alcohol, respectively. The reducing sugar was lowest in A wine(production year 2008, non-sterilized) and highest in D wine. The lactic acid was detected as a main organic acid and the free sugar was detected only fructose. As main flavor components, ethyl acetate and 1-pentanol were detected and their sum of 80~90% and a small amount of phenylethyl alcohol which providing rose-like aroma was also detected. The contents of soluble phenolics were highest in D wine(1.07 g/L) and lowest in C wine(0.80 g/L), corresponding to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st found in D wine according to their soluble phenolic contents.
        4,500원
        82.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inger was steamed at 121 o C and 1.5 lb/in 2 for 30 min, dried at 60 o C for 12 h, and each step was repeated nine times. During processing, the lightness (L* value) and yellowness (b* value) decreased from 85.65±0.33 and 26.99±0.20 in the non-treated ginger to 56.91±0.25 and 16.69±0.06 in ginger treated for the ninth treatment. On the other hand, redness (a* value) increased from -1.51±0.03 to 7.34±0.08 on the eight treatment and then decreased to 7.21±0.04 on the ninth theatment. The contents of 6-gingerol decreased from 3.257±0.067 mg/g in the non-treated ginger to 0.567±0.036 mg/g on the theatment, whereas the contents of 6-shogaol increased from 1.299±0.050 mg/g to 2.999±0.089 mg/g on the sixth treatment and decreased to 2.099±0.039 on the ninth treatment. The contents of 10-gingerol decreased slightly from 1.106±0.125 mg/g to 0.806±0.026 mg/g. Unlike the 6- and 10-gingerol, the contents of 8-gingerol did not change greatly, with values between 0.916±0.005 mg/g and 1.106±0.005 mg/g being observed during processing.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increased from 43.42±11.45% in the non-treated ginger to 100% on the sixth treatment and then decreased to 51.98±7.36% on the theatment. The antioxidative activity was retained during processing.
        4,000원
        83.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amount of oats to add to rice and the merits of oat meal. We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ooking properties, functional com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oats added in the cooked rice. Compared with rice, the oat showed higher level in protein, fat, total β-glucan and total polyphenol, but not for starch. Therefore, the amount of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oats added. Water absorption and expansion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oat added. Oleic acid content was increased and linoleic acid content was decreased slightly.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greatly increased.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oats added.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the most appropriate amount of oat added was 20% and 30%. By the addition of oat, the β- glucan content of the cooked rice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could increase.
        4,000원
        84.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icrocapsule by the entrapment of Ainsliaeaacerifolia extract (AAE) in native starch and citrate starch matrices through spray-drying and dry heating reaction. AAE microcapsules were assessed based on recovery, encapsulation capacity, FT-IR, FE-SEM, swelling power, solubility, releasing pattern of AAE from microcapsules, and antioxidant activity. Upon increasing the addition levels of AAE and adding citric acid in the pre-emulsion mixtures, the spray-drying recovery and encapsulation capacity of AAE microcapsules increased. AAE microcapsules exhibited irregular shapes due to excessive shrinkage of their spheres. FT-IR spectra implied the formation of ester groups between starch molecules and either citric acid or phenolic compounds in AAE. Swelling powers and solubility of AAE microcapsu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citrate starch matrix (relative to native starch).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enzyme hydrolysis on AAE releasing patterns were similar over AAE microcapsules prepared in this study. AAE microcapsules facilitated the free radical scavenging in an aqueous (relative to alcoholic) reaction system. Overall, the entrapment of AAE into the matrices from native starch and citrate starch would be one of the possible ways to expand the utilization of raw materials, by-product, and extract from Ainsliaeaacerifolia in food industries.
        4,000원
        85.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changes in mustard leaf kimchi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of up to 3 months. The pH decreased, and the titratable acidity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of fermentation periods. Fructose and glucose were the major free sugars in mustard leaf kimchi, and their amou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fermentation periods (p<0.05). Lactic acid conten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with maximum increase at 3 months. All types of kimchi contained 20 amino acids, but the content of most amino acid fluctuated during fermentation. Except for K and Zn, the content of other ingredients including Ca, Fe, Mg, Na, Se were the highest in kimchi fermented for 2 months. The unsaturated fatty acid of mustard leaf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saturated fatty acid, and total fatty acid of kimchi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2 months (p<0.05). Most vitamin content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fermentation, in particular, vitamin B complex except for B2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3 months (p<0.05). The result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fermentation period to improve the quality of kimchi.
        4,000원
        8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최대한 인삼의 외형을 원형삼 형태의 홍삼 과 유사하게 유지하면서도 기능성은 증진시킬 수 있는 신속 한 고온고압 처리 공정을 확립하기 위하여 다양한 고온고압 처리공정 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산성다당체 및 홍삼 특유의 진세노사이 드 Rh1, Rg2, Rg3의 함량은 140℃, 3 kg/cm2의 고온고압 처리 조건에서 가장 높은 반면, 총 페놀 화합물 및 말톨 함량은 156℃, 5 kg/cm2의 고온고압 처리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 나 홍삼의 증자 처리 시 156℃, 5 kg/cm2의 처리조건에서는 시 료가 터지거나 외형의 변형이 심하기 때문에 140℃, 3 kg/cm2를 최적 온도 및 압력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증자 시간이 증 가함에 따라 총 페놀 화합물, 말톨 및 흑삼특이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20분간 처리한 군의 외형이 기존의 홍삼과 가장 유사한 외관을 나타 냈으므로, 140℃, 3 kg/cm2에서 20분 동안 증자 처리하는 것 을 본 실험의 최적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최적조건을 통해 제조된 홍삼의 항산화 효능을 분석한 결과, 시중에서 판매되는 백삼, 홍삼 및 흑삼과 비교하여 높은 항산 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확립된 고온고압 처리를 통한 신규홍삼 제조기술은 그 형태 가 기존의 홍삼 제품과 유사하면서도 공정이 신속하고, 품질 은 흑삼과 비슷한 고기능성 신규 인삼제품 개발 시 응용 가능 한 공정으로 사료된다.
        4,000원
        87.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wo aronia varieties (Viking and Nero) cultivated in Chungbuk were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Nero and Viking powder were:13% moisture, 0.58% and 0.6% ash, 0.73% and 0.33% crude lipid, 5.47% and 6.51% crude protein, 15.65% and 16.15% crude dietary fiber, and 64.36 and 64.43% crude carbohydrate, respectively. The proximate contents of the aronia samp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change in total anthocyanin and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Viking ha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than Nero. The mineral contents of Al, Fe, Mn, Mg, Ca, Na, K, Cu and Zn in the two aronias were determined. Cu and Zn were not detected in both varieties. With regard to Al, Na and K, Nero was higher than Viking, while Ca was higher in Viking than Nero. From the results, Viking could be suggested to be beneficial for food processing.
        4,000원
        8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utritional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mustard leaf kimchi were examined during fermentation periods up to 3 months. As the fermentation processed, pH decreased, and titratable acidity gradually increased. The crude ash and protein content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but crude lipid cont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from 5.97 to 5.07%. Crude fiber and carbohydrate showed no distinct changes. Dietary fiber contents were slowly changed between control and 1 month fermentation sample, and were maintained thereafter. The major free sugars of mustard leaf kimchi were fructose and glucose, and the amount of the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end of fermentation stage. Lactic acid showed a dramatic increase and reached its maximum at 3 months. All kimchi contained 20 amino acids; in particular, glutamic acid was the highest in mustard leaf kimchi. Amino acid contents fluctuated during fermentation. Except for calcium and selenium, the content of other ingredients (Fe, K, Mg, Na, and Zn) increased with prolonged fermentation time. Fermentation promotes a significant increasing in the content of linoleic acid and DHA. The highest antioxidant vitamins (β-carotene, tocopherol) contents were determined at mustard leaf kimchi fermented for 2 months. The results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proposing an appropriate fermentation periods to promote quality of kimchi
        89.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viscosity, overrun, melting-down, moisture, crude fat, total sugar, and color of rice powder and puffed rice powder ice cream, following the addition of α-amylase, were investigated. For identical grain types, the gelatinization degree increased with puffing, and within the same treatment, the short grain was higher than the long grain. Viscosity dropped with increasing α-amylase at the same concentration and grain type, excluding 0.0%, the rice powder was higher than the puffed one, and for the same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he short grain was higher. The overrun was highest at 0.2%, and for the same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he short grain exhibited higher overrun. Higher melting-down was observed in puffed and lower viscosity ice cream mix.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oisture with enzyme concentration. Regardless of puffing, the short tended to have a higher moisture. No difference was noticed in crude fat by concentration, grain type, or puffing. The total sugar was higher with increasing α-amylase; at the same concentration, puffed tended to be higher. The hunter “L” and “b” increased with α-amylase, while the “a” value dropped. At the same concentration and grain type, the “b” values decreased with puffing (p<0.05).
        4,000원
        9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even (A, B, C, D, E, F, G) commercial ketchups marketed in Korea. The 70% ethanol extracts were prepared and evaluated for total phenolic conten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metal chelating effect. pH ranged from 3.64 to 3.94, and soluble solid and reducing sugar contents of samples were 2.21~3.51oBrix and 4.78~13.45%, respectively. Salinity of samples was in the range of 1.79 to 3.21%, and sample G showed the lowest salinity.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Hunter color system of samples were 15.42~19.94, 18.55~23.98, and 20.87~24.34, respectively. The phenolic contents ranged from 1.37 to 2.60 mg GAE (gallic acid equivalents)/g, with samples F and G exhibiting the highest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ed based o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metal chelating effects were 45.10~90.87, 55.35~92.53, and 71.10~92.20%,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200 mg/mL. Samples A and G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other sample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suggesting that phenolic compounds are the major contributors to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9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mi-dried jerky made from uncastrated (U) and castrated (C) deer meat. The jerky was manufactured by mixing the ground lean meat with spices followed by drying process, packed and stored aerobically at 25℃ for 20 days. The pH of uncastrated raw mea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castrated meat as well as the pH of the jerky. No effects were found on color, hardness and sensory scores of jerky. Castrated jerky had higher fat content than uncastrated jerky (p<0.05), after 20 days of storage, its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 was higher than uncastrated jerky (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stration contributed to higher fat content and lipid oxidation of semi-dried venison jerky than the uncastrated, without any significant effects on texture and sensory attributes. However, proper packaging should be considered to inhibit lipid oxidation.
        4,000원
        9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내삼리 땅밀림 산사태 피해지를 대상으로 복원 8년 후 훼손복원지와 인접 산 림지의 유기물층 및 토양층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유기물층의 건중량 및 탄소함량은 훼손복원 지 7690kg/ha와 34.08%, 인접 산림지 15360kg/ha와 45.21%로 훼손복원지가 유의적으로(P<0.05) 낮 게 나타났다. 또한 훼손복원지내 유기물층의 질소(N), 인(P),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구리 (Cu), 망간(Mn), 아연(Zn)함량은 인접 산림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알루미늄(Al) 함량은 훼손 복원지와 인접 산림지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층의 경우 토양용적밀도는 훼손복원지 1.31g/cm3, 인접 산림지 0.88g/cm3, 모래함량은 훼손복원지 75%, 인접 산림지 38%, 토양 pH는 훼손 복원지 pH 5.93, 인접 산림지 pH 3.96으로 훼손복원지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탄소, 질 소, 칼륨, 마그네슘저장량은 훼손복원지와 인접 산림간 유의적인 차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훼손복원지는 토양 용적밀도나 모래함량이 인접산림지에 비해 증가하여 토양물리적 성질이 악화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4,000원
        9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추출액의 수율 및 생리적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 여 고추에 cellulase(C 처리군), pectinase(P 처리군), amylase(A 처리군)를 각각 또는 이들 효소들을 혼합(CP, CA, PA 및 CPA 처리군) 첨가하여 2~8시간동안 가수분해시킨 후 가열처리하 고, 여과시킨 추출액에 대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 평가를 측 정하였다. 효소 처리 고추 추출액의 수율은 효소 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 38.84% 정도로 매우 낮게 나타났지만, 효소처리군 이 높은 수율을 보였고, 효소 단독처리군보다는 병용처리 시 수율이 증가하였으며, 효소 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 로 수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ellulase + pectinase + amylase(CPA) 복합처리군은 추출수율이 74.37%까지 증가 하였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변화는 대조군의 경우에는 8.51% 를 나타내었으나, 효소처리군은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나 타내었으며, CA 혼합처리군과 CPA 혼합처리군이 가장 높은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보였다. 환원당의 함량 또한 효소 처리에 의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 처리에 의한 색도 의 변화에서는 대조군과 효소처리군 간에 색도의 변화를 보 이지는 않았다. 효소 처리한 고추 추출액에 대한 관능검사 결 과에서는 전반적으로 효소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 여 효소 처리 시 기호도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고추 추출물 제조를 위한 효소 처리는 수율 및 기호도 증진을 위한 좋은 방법으로 사료된다.
        4,000원
        9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밥밑용 검정콩의 식미에 관련된 선발 지표를 탐색하고자 품종과 재래종을 이용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검정콩 종실의 길이는 7.73 ~ 9.99 mm, 너비는 7.13 ~ 8.50 mm, 그리고 두께는 5.06 ~ 7.03 mm의 범위였다. 밥밑용 검정콩 품종과 재래종 종실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는 14.48 ~ 19.98, 적색도는 –0.22 ~ 0.09, 황색도는 –0.57 ~ 1.05 범위였다. 밥밑용 검정콩의 조단백 함량은 32.2 ~ 36.9%, 조지방 함량은 11.7 ~ 18.6%, 조섬유 함량은 3.99 ~ 4.50%, 조회분 함량은 4.98 ~ 5.95% 범위였다. 관능평가 결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것은 청자콩이었고 가장 낮은 것은 IT177445이었다. IT177445는 단맛이 가장 약하였는데, 비린맛은 많이 강하고 고소한 맛은 약해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자원의 종실 길이, 너비 및 두께는 종합적 기호도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조섬유 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종합적 기호도는 조단백 함량(−0.54*) 및 조섬유 함량(−0.73**)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외관적 기호도를 제외한 씹힘성(0.73**), 단맛(0.82***), 비린맛(0.86***) 그리고 고소한맛(0.89***)은 종합적 기호도에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단맛(−0.54*), 비린맛(−0.55*) 그리고 고소한맛(−0.80***)은 조섬유 함량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000원
        95.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열수침지 및 과열증기 처리한 당근을 IQF 방 법으로 급속 냉동 한 다음 -12, -18, -24 o C에서 24주 동안 저장한 후 해동하여 이화학적 및 영양학적 특성과 미생물 학적 변화를 분석하여 열처리 및 냉동 저장의 최적 공정 과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대체적으로 과열증기 처리한 당근보다 열수침지 처리한 당근의 ΔE이 큰 값을 나타내었 고, 열처리 후 생당근에 비해 전단력이 감소하였으나 급속 냉동 후 저장 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 다(p>0.05). 열처리 후 생당근에 비해 총균수가 감소되었지 만 냉동 저장시 일정한 경향을 보였고, 열수침지 처리한 당근의 비타민 C 손실양이 과열증기 처리한 당근보다 더 많았다. 열수침지 처리 후 감소한 유리당의 함량은 저장 기간에 따른 변화는 없던 반면, 과열증기 처리 후 급속 냉 동 한 당근의 유리당 함량은 증가하였다. 당근의 유기산의 함량은 열수침지 처리 후 감소하였으나 과열 침지 처리 후 oxalic acid와 malic acid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열처리 후 영양 성분의 손실이 더 적은 과열증 기법의 공정 과정이 열수침지법보다 더 적절한 것으로 보 인다. 또한 -12 o C에서 저장한 당근의 비타민 C가 6개월 후 모두 파괴되었던 것을 통해 비타민 C의 파괴를 최소화하 기 위해서는 이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냉동 저장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9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종의 활용성 증대를 위하여 흑마늘종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마늘종을 정선하고 밀폐 용기에 담아 55 ± 2℃에서 7일간 1차 숙성시키고, 다시 65±2℃에서 14일간 2차 숙성시켜 흑마늘종을 제조하였다. 흑마늘종은 마늘종과 비교하여 산도 및 환원당은 각각 0.41 mL 및 24.98 g/100 g에서 0.91 mL 및 44.86 g/100 g으로 약 2.2배와 2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무기질 중 나트륨과 인은 약간 증가하였으나 칼륨은 감소하였고 칼슘과 철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한편 원료 마늘종과 비교하여 총 phenolics 함량은 약 1.5배(128.6 mg/100 g) 증가하였고 갈변도는 약 2배(OD420 nm= 2.071) 증가하였으며, 이에 상응하여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의 항산화 활성도 증가하였다. 특히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흑마늘종 추출물은 79.2%로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acarbose의 71.81%보다 높았으며, 마늘종 추출물의 31.12%보다는 약 2.3배 활성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마늘종으로부터 기능성이 증진된 흑마늘종 제조가 가능하였다.
        4,200원
        97.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ions contain antioxidant flavonoids and bioactive sulfur compounds. These substances are more abundant in the peel than in onion flesh. For this reason, whole onions including peels were added to soy milk to produce soy milk with whole onions (SWO), whereas peeled onions were added to soy milk to produce soy milk with peeled onions (SPO). The function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se two kinds of soy milk were then analyzed and compared. Compared to control soy milk (CS) without onion powder, treated samples (to which freeze dried onion powder was added at 1.4, 1.6, 1.8, and 2.0%,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mounts of quercetin, isoflavone, and total phenol (p=0.05). The magnitude of the increase rose as the amount of added onion powder increased and when onion powder contained onion peels. With regards to antioxidant activity (DPPH and ABTS), SWO showed a greater value than SPO. The sensory evaluation scores of SWO and SPO were lower than CS for roughness and swallowing, as adding onion powder increased solid contents and viscosities. However,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were obtained 1.8SPO and 1.8SWO.
        4,200원
        9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commercial Gangjeong.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nine different Gang-jeong as commercial products. To accomplish this research,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ine samples, including moisture, crude lipid, sugar contents, acid value, color values, and texture, were measured. In addition, consumer panels evaluated the overall acceptability, appearance, flavor, sweetness, and texture of samples using a 9-point Likert type scale as well as the perceived intensities of sweetness and rancid odor by a 9-point Just-About-Right (JAR) scale.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ll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p<0.001). Analyses of consumer acceptability and JAR ratings of the nine samp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4,200원
        99.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양파를 열처리 법 중에서 열수침지, 증기 및볶음 처리에 따른 이화학적 및 영양학적 특성을 분석한 논문으로 열처리가 양파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상품을 구매할 때 1차적인 구매요소인 색도 및 경도측정과 추가적으로 pH와 조직관찰 결과로 최적조건 선정 후영양학적 및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열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짧은 시간의 열처리에서는 더 진하고 선명한 색을 띠었으나, 장시간동안 처리한 열처리 시료는 색의 침착을 보였다. 원물과 처리구의 색은 열처리 시간에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고, 경도는 열처리 시간에 따라짧은 시간에서는 분해효소의 불활성화로 유지 및 증가했지만, 3분 이상 처리하였을 때는 감소 경향을 나타냈고, 볶음처리는 짧은 시간으로도 물성이 연화됐다. 비타민은 열수 및 증기처리 1~2분 처리는 14% 정도 감소했지만 그이상 처리 시에는 23~28% 범위로 큰 감소율을 보였으며,유리당 및 유기산의 경우 열수침지 및 증기처리에서 손실을 보였지만, 볶음처리에서는 유지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을나타냈다. 특히 유리당에서 열수침지 처리 시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Peroxidase activity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75% 이상의 불활성화를 나타냈고, 특히 열수침지 및 증기처리한 모든 시료에서 90% 이상의 불활성화를 나타내며볶음처리보다 높은 불활성화율을 보였다. 미생물 측정한결과 열수 침지 3분 이상 및 볶음처리 210초 이상 처리시 미생물 검출이 안됐으며, 증기처리 시료는 2분 처리만으로 사멸된 것을 관찰했다. 양파의 열처리 조건은 증기처리법으로 2분 동안 처리하는 것이 다른 처리법에서 처리한 시간들에 비해 최적으로 나타났다. 열처리 방법 별 각각의 최적 처리 시간을 가지고 있어, 높은 효율성이나 산업적으로 이용하려면 최적의 전처리 방법과 처리 시간을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4,000원
        100.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적의 냉해동 조건을 확립하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냉해동이 당근에 미치는 이화학적 분석 및 영양성분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강제송풍방식을이용하였으며, 자연대류식(0.2oC/min), 저속(0.4oC/min) 및고속(1.6oC/min)으로 냉동속도를 조절하여 -12oC까지 냉동하였다. 해동조건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0, 200, 400,800W의 세기로 출력을 조절하여 시료의 중심부 온도가4oC가 될 때까지 해동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당근의 강도는 냉해동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200, 400W 해동 시 냉동 속도가 빠를수록 감소하였다.해동감량의 경우 해동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냉동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및색도의 데치기 후 당근과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자 현미경 관찰 결과, 냉동속도가빨라질수록 기공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빠른 냉동속도가 식품 조직의 손상을 막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보인다. 비타민 C 및 유기산(oxalicacid, malic acid 및 fumaric acid) 함량의 경우 유의적인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리당 함량의 경우에는 sucrose함량은 자연대류 냉동 시 가장 높았고, fructose 및 glucose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냉해동방법에 따른 영양학적 변화는 대부분 데치기 후 당근과 유사하였으나, 당근을 고속으로 냉동할 시 물리적 변화 및조직 손상을 최소화 하였으므로 당근의 품질을 유지하는데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