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0

        21.
        2017.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장애유형별로 스마트폰 사용의 특성과 사용실태를 확인하여 적합한 컨탠츠의 개발과 임상현장에 필요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조사한 ‘2016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의 원 자료 사용 동의 후 장애인 스마트폰 사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 3세 이상 69세 이하 가구원 중 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을 사용한 24,386명 가운데 장애인 559명을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청각장애, 시각장애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장애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콘텐츠는 메신저(94.8%), 웹서핑(74.9%), SNS(62.3%)였다. 장애인들은 가상현 실, 증강현실, 혼합현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청각장애의 경우 스마트 미디어를 많이 사용하며 시각장애의 경우 PC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모든 장애유형에서 인터넷 사용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며 주중 보다 주말에 인터넷 사용횟수와 시간이 높았다. 결론 : 장애인들은 가상현실과 관련하여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높은 기대감을 보이고 있으며, 시각장애의 경우 장애의 특성과 함께 사용의 특성까지 고려된 콘텐츠 개발과 중재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2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노인들의 시간사용 실태 조사에 사용된 자료에서 제시되고 있는 작업 영역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작업영역 별로 노인들의 시간사용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연구방법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Embase, PubMed, Cochrane, Web of Science, KISS, NDSL, KMbase, RISS를 사용하여 2001년부터 2016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로 “elderly” OR “older adult” OR “senior” AND “time use” OR “use of time” OR “time allocation” OR “time usage” OR “time management”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포함기준에 적합한 11개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 정하였다.결과 :11개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시간사용 측정도구들은 일상생활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과 여가를 측정하였지만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에 의한 작업영역 8가지를 모두 평가한 도구는 없었다. 휴식 및 수면을 제외하고 노인들은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과 여가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또한 국내 노인들은 국외 노인들에 비해 여가시간이 적었으며 무급노동일을 하며 보내는 시간이 많았다.결론 :노인들은 주로 집에서 정적인 활동을 하며 하루를 보냈다. 따라서 작업치료사들은 노인들에게 다양 한 신체적 활동 프로그램과 사회참여 활동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에서 사용 하고 있는 작업영역 개념을 사용하여 활동들을 분류한 후 시간사용량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노인의 시간 사용을 이해하는데 있어 작업치료사에게 유용한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900원
        23.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국내에서 병원 외래진료 시 각막상처나, 각막굴절교정수술 이후 각막상피 재생에 필요한 회복 기간 동안 치료 목적으로 착용하는 소프트콘택트렌즈를 매일착용 및 연속착용 방식으로 사용하는 병원들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방법: 국내 홈페이지가 있는 안과 120곳을 대상으로 온라인 상담문의를 실시하여 치료용 소프트콘택트렌즈 사용 실태를 분석 하였다. 결과: 치료용 소프트콘택트렌즈로 총 13 종의 렌즈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큐브 오아시스 2주착용(senofilcon A)를 사용하는 병원이 60.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그 다음 쿠퍼비젼 바이오피니티(comfilcon A) 21.3%, 인터로조 클라렌 55S(hioxifilcon D)가 5.1%로 조사되었다. 매니콘 프리미오 및 바슈롬 소프렌59(hilaficon B), 바슈롬 퓨어비젼(balaficon A), 뷰웰 애니데이(HEMA90%), 아큐브 모이스트 원데이 (etafilcon A), 아큐브 오아시스 원데이(senofilcon A), 아큐브 트루아이 원데이(narafilcon A), 인터로조 클라렌 원데이(hioxifilcon A)는 모두 1.5%로 나타났으며, 매직콘 씨엘 클리어 (Rarofilcon B)와 창우메티칼 밴디지(polyHEMA)는 0.7%로 나타났다. 조사한 렌즈 중 함수율의 평균은 48.6%이었고, 아큐브 모이스트 원데이, 바슈롬 소프렌59가 59%로 가장 높았으며, 바슈롬 퓨어비젼이 36%로 가장 낮았다. 산소투과성(DK/T)에서는 평균이 74.1이었고, 쿠퍼비젼 바이오피니티가 160으로 가장 높았으며, 바슈롬 소프렌59는 15.7로 가장 낮았다. 결론: 국내 안과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콘택트렌즈를 치료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용 소프트렌즈의 특성상 콘택트렌즈를 제거하지 않고 연속해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에 안과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콘택트렌즈의 종류를 선택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2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iu, Lina. 2016. “The Loanwords Usage of Chinese Studen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3). 37~6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atistically sort out the usage of Korean loanwords usage from Chines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causes. Standing in the position of Chinese students, revealing their loanwords' actual applications not only can help them to recognize their mistakes in loanwords, but also can support them to correct the mistakes. From the standpoint of academic research, we should find out the reason why their frequent mistakes, which is very helpful to loanwords teaching, too. This paper focuses on the real situation, designed to pass the actual investigation to observe the use of loanwords by Chinese students. And also try to clarify the reasons for their use. To this end, this paper conducted a number of written investigations and interviews. Especially, when I try to use a variety of ways in the interviews which I will introduced in chapter 2. Survey data show that their use of loanwords are more complex than we think. However, the reasons can be traceable. In this study is to try to explore the causes just like influence of Chinese-Style English, influence from China's loanwords pronunciation, the pronunciation problems of loanwords, psychological factors.
        6,600원
        2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etary life status according to smart device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2015, data was collected during a 3 month survey of the eating behaviors, lifestyles, eating habits, and use of smart devices of 550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their dependency on smartphones. Ultimately, 520 subjects (94.5% analysis rat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daily use time of smart device: low-use group (<4.7 hours, n=173), medium-use group (≥4.7 hours and <6.4 hours, n=174), and high-use group (≥6.4 hours, n=173). The more frequent use groups showed a higher level of dependency on the smartphone. Breakfast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ly skipped meal; and the high-use group showed a higher response of irregular meals than low-use group. In assessment of eating habits, the subjects with less smart device usage ate more regularly and at fixed times, did not overeat, drank milk everyday, and did not consume processed food as often. To sum up, more irregularity of meal and undesirable eating habits were foun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er use of smart devi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ontrol of smart device usage would lead to a more desirable dietary life in university students.
        4,000원
        28.
        2015.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핸드 사이클 선수 및 동호인을 대상으로 현재 사용 중인 핸드 사이클 사용 실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향후 한국형 핸드 사이클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현재 핸드 사이클 선수로 등록이 되어 있거나 핸드 사이클 동호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장애인 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8문항, 핸드 사이클 사용 및 만족도 문항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기간은 2014년 10월~11월이었다. 결과 : 대상자의 60% 이상이 핸드 사이클 사용 중 혹은 사용 이후에 통증이 있다고 답하였고, 가장 많이 통증을 호소한 부위는 어깨였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핸드 사이클은 100% 수입품이며, 가격대는 500만원 이상으로 구입처 및 가격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하는 핸드 사이클 형태는 좌식(46.1%), 와식(38.5%), K-Type(15.4%)로 대상자 대부분이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그립 및 브레이크는 손잡이형(53.8%)이 가장 많았으며, 역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서 핸드 사이클 형태 및 구성품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었으나, 대상자 대부분이 통증을 호소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한국형 핸드 사이클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본 연구 자료가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4,000원
        29.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sbestos containing materials in public facilities in Korea. We investigated 201 public facilities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in 2009. PACM were collected according to EPA AHERA rules, and analyzed using the US EPA method 600/R/116. The air samples from public facilities were analyzed by PCM. For the survey on ACM risk assessment, we used both the ASTM rules and Korea ACM risk assessment(developed by the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Public facilities showed that ceiling textiles contained chrysolite/amosite(2 and 25%) and cement flat boards contained chrysolite(5 and 26%). Also, gaskets contained chrysolite(3 and 95%) and Floor tile & carpet contained chrysolite(less than 1 and 6%). PCM analysis was performed on all air samples,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fiber did not exceed the Korean guideline(0.01f/cc).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ccording to the ASTM rule of asbestos material, 70 materials were “Abatement” grade and 344 materials were “Q&M” grade when assessed by ASTM B-line. Furthermore, based on the adjusted Korea ACM risk assessment 22 materials rated as were “Fair” and 390 materials were “Good”.
        4,200원
        30.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stimate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hich distinguishes the types of omega-3 health functional foods, fish oils and fish oil usages through 13C-NMR spectra and fatty acids contents analysis. The major fatty acids of omega-3, eicosapentaenoic acid (EPA, C20:5)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C22:6) are being analyzed. 10 ethyl ester (EE) forms and 10 triglyceride (TG) forms are the most common types of fish oils for 20 omega-3 products. Gas chromatography (GC) analysis generally shows the matching EPA and DHA contents of the products listed on the notation. But EE form contents of EPA and DHA are higher and are more varied than the TG form. Most of the samples of EPA/DHA ratio show different content ratios of indicated on the products when comparing with standards. The 13C-NMR analysis of EPA and DHA on sn-1,3 and sn-2 carbonyl peak position with fish oil triglycerides display whether the reconstituted triglycerides (rTG) are being confirmed or not. As a result of the 9 TG form, the 10 TG products showed similar values: EPA sn-1, 3; 13.46~15.66, sn-2; 3.00~4.52, DHA sn-1, 3; 2.43~4.40, sn-2; 3.84~6.36. But one product showed lower contents (EPA: sn-1, 3; 5.88, sn-2; 2.86, DHA sn-1, 3; 2.29, sn-2; 5.95) of EPA, thus it can be considered a different type of oil and only matched six products according to the label.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which identify the status for the types and quality of omega-3 fish oil products according to fatty acids profiles and the 13C-NMR spectrum confirmed the location specificity of EPA and DHA.
        4,000원
        3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occupational accidents in 2009, the scaffolds and work platforms were main objects causing fall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s. But many workers install and use the work platforms on the mobile scaffolding without considering about safety standards. We had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about how workers obey safety standards for the work platforms of the mobile scaffolding. As the result of a survey, no one follow a gap standard between materials of work platforms and installation of toe board. And it is a low proportion that comply with the install of safety guard rails and the use of stoppers. This is lack of consciousness for the safety certification and regulations. For safe use a mobile scaffolding, It is needed to educate a manager on the safety standards and to develop a product to install and dismantle easily.
        4,000원
        3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노인들을 대상으로 48시간 동안의 일상생활 활동 참여시간을 통계청(2009)에서 사용하는 일상생활시간 조사 분류표를 통해 알아보고,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시간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도시지역 거주 일반노인 155명으로 하였으며, 2009년 통계청에서 사용한 일상생활시간조사표 및 일반적 특성이 포함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설문지가 배포된 후 48시간 동안의 일상생활 활동기록지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들이 완성한 일상생활 활동기록지는 통계청에서 제시한 9가지의 행동분류표에 나온 행동들로 분류하여 각각의 행동에 따른 이틀간의 총 시간사용량을 분으로 계산하였다. 결과 : 도시거주 노인들의 개인유지 활동 참여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았다. 그리고 남성 노인들이 일과 학습활동 참여시간이 많았고, 여성 노인들은 가정관리, 참여 및 봉사활동,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았다. 또한 65세 이하의 노인들은 일하는 시간이 많았으며, 66세 이상의 노인들은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았다. 중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개인유지에, 대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이동 및 일에, 소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교제 및 여가활동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종합적으로 76~80세 여성 노인들이 참여 및 봉사활동 참여시간이 많았고, 대도시에 거주하는 남성 노인들이 일에, 소도시에 거주하는 남성 노인들은 교제 및 여가활동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기능적인 독립성, 사회적 참여유지, 자원봉사 및 여가활동을 노인들의 성별, 연령, 학력, 지역별 특성에 맞게 계획하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는 데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600원
        33.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중국 내에는 대규모적인 인구 이동이 나타나 원래 중국 동북 3성에 모여 살던 조선족들은 고향을 떠나 대도시로, 연해개방 도시로, 해외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전국 인구 보편조사의 통계에 의하면 1990년 전국 조선족 인구는 192.3만 명 중 98.2%가 동북3성(東北三省)에 살고 있었으나 2000년 통계에는 동북 3성에 사는 인구가 92.2%로 줄었다. 이는 호적을 기본으로 하는 인구보편조사의 통계로서 호적은 고향에 있으나 실제로 고향을 떠난 인구는 훨씬 많다. 지금도 조선족 인구 이동은 진행 중이며 새로운 지역에서 집거(集居)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본고는 중국의 조선족 집거지구 연변, 산재지구 청도(새로운 집거지구라는 주장도 있으나 연변대상 산재지구로 한정함), 잡거지구 북경, 할빈 3곳을 대상으로 한 조선족 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연구이다. 본고를 위해 3지역 조선족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변 177명, 회수율 89%, 청도 405명, 회수율 81%,북경, 할빈 89명, 회수율 89%). 3개 지역 조선족들의 언어능력과 언어태도에 대해 알아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이 발견되었다. 언어 능력 면에서는 첫째, 집거, 산재지구 순으로 조선족들의 조선말 보존정도가 비교적 높은 반면 잡거지구, 산재지구 순으로 조선족들의 중국어 능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구사력과 문장력에서는 조선말이 중국어에 비해 우세하나 독해력 면에서는 중국어도 높게 나타났다. 언어 태도 면에서는 첫째, 3개 지역 조선족들은 대부분 조선말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편이다. 둘째, 세대별로는 학생 세대는 중국어 선호도가 높고 동화현상이 심하며 부모 세대로 갈수록 조선말 선호도가 높았다. 셋째, 본인, 자녀, 배우자에 대한 희망언어 태도에서는 ‘본인’과 ‘자녀’의 희망언어는 중국말이 높고, ‘배우자’의 희망언어는 조선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앞으로 조선족 사회에 많이 사용되길 바라는 언어(기대언어)에 대한 응답에서는 조선말이 가장 많은 반면에 쓰이게 될 것 같은 언어(예측 언어)에서는 산재, 잡거지구에서 서울말이 많이 선택되었다. 위의 결과들은 세대별, 거주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6,100원
        3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utritional value of kimchi is gaining global focus along with new possibilities and uses for the various salts used in making kimchi.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duct research on the uses of various salts and investigate the consumer recognition of salt use in kimchi preparation. The findings are from 824 consumers over 19 years old from 15 locations who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via one-to-one interviews from September 23rd to October 14th, 2009.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how that when customers cooked, 71.9% used solar salt, 62.2% used flower salt (refined salt), 27.4% used Hanju salt (purified salt), 59.0% used processed salt (roasted salt), 47.4% used bamboo salt, 69.4% used Mat salt (table salt), and 18.2% used low sodium salt. The most preferred origin of salts was domestic. Most customers salted Chinese cabbage while preparing kimchi. Consumers showed low perceptions of different salts used in kimchi production, and did not exactly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alts. The preferences for domestic and solar salts were very high, while the preference for sea salts was low. In conclusion, various types of salts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kimchi. This study hopes to help consumers produce better kimchi to match different needs.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promot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alts influencing the quality of kimchi.
        4,000원
        35.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contrasts different of usages of honorifics in Korean and Japanese based on the actual use of honorifics Japanese and Korean high school students. Based upon such contrast this paper elucidates the following points: First, in case of direct honorifics, the differences of ages or statuses become the first standard to determine the usage of honorifics in Korean. However, in Japanese, in addition to differences of ages or statuses, the degree of closeness/ familiarity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s an important determinant. Therefore, Korean children use honorific to their parents in Korea, while Japanese children don't. Second, in case of indirect honorifics, it is widely believed that Koreans use honorific by the rule of unconditional honorific and Japaneses use it by the rule of conditional honorific. However, various factors such as the degree of familiarity or closeness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etc. influence the usage of indirect honorifics in Korean. Therefore, the rule of honorifics for Korean and Japaneses languages is quite ambiguous. Third, in Korean honorifics, we can find conditional honorific which is also called as restrained honorific. However, it is generally not used except for in a hierarchical society such as the military.
        6,000원
        3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9(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Korean teenagers' language use regarding expletives, teenage slangs, and buzz-words, by employing a questionnaire survey. We have obtained a sample of 2418 teenage student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For data analysis, we performed frequency, mean, chi-square test, and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Our results indicate that expletives, teenage slangs, and buzz-words tend to be widely used in daily life with almost no sense of guilt or shame and that frequency of expletives highly increase from middle school age. Negative result of expletives is an increase in physical and verbal aggression as well as in passive aggression. Some of the questioned replied that they feel estrangement and inconvenience about teenage slangs and buzz-words. Additionally, we found that elements of family conversation, parental propensity to control, school education, leisure activity, self-control, and empathy ability correlate closely with frequency of expletives in teenage students.
        8,400원
        37.
        2011.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18세 미만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보조용구 사용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향후 자세보조용구 지원 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18세 미만 뇌병변 장애인을 대상으로 2011년 3월 2일부터 2011년 3월 30일까지 전국의 병원, 복지관, 보조공학서비스센터,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자세보조용구에 대한 설문지를 메일로 배포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526개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최종적으로 47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자세보조용구의 필요성 조사 결과 전체 대상자의 89%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로는 대상자의 43%만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세보조용구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이유는 ‘가격이 비싸서’가 52.23%, ‘어떤 것이 필요한지 몰라서’가 43.01%, ‘어디서 사야 하는지 몰라서’가 3.41%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보조용구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이유는 ‘작아져서’가 44.68%, ‘안 맞아져서’가 17.02%였다. 대상자들이 보유하기를 원하는 자세보조용구 품목은 특수의자, 특수휠체어, 선자세보조기구, 차량용자세보조기구, 목욕자세유지기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앞으로 18세 미만 뇌병변 장애인에게 자세보조용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행할 때에는 전문지식을 가진 전문가가 각 각의 대상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자세보조용구를 평가하도록 하고, 구입 후 사후 관리에 대한 교육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자세보조용구의 사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4,300원
        38.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양상을 조사하기 위하 여 페로몬트랩과 포충망을 이용하여 대전시 유성구에 3곳, 아산시 지역에 2곳에서 수행하였다.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혼식한 아산 포장 두 곳에서페로몬트랩에 유인 포획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5월에 비해 6월에 매우 감소하였지만, 7월 달에 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헤어리베치만 정식되어 있는 노은포장과 궁동 제 1 포장에 서는 7월에 비해 8월에 많이 포획되었다. 하지만 헤어리베치가 정식되어 있는 포 장 4곳에 비하여 유인포장으로서 콩이 정식되어 있는 궁동 제 2 포장에서의 유인 포획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월등히 많았다. 아산시 포장, 노은포장과 궁동 제 1 포장에서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보다 닮은초록노린재, 변색장님노린재, 알락 수염노린재 등이 더 많이 포획되었지만, 궁동 제 2포장에서는 톱다리개미허리노 린재가 주로 포획되었다. 친환경농자재를 헤어리베치 채종지에 사용하여 톱다리 개미허리노린재의 방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실내에서 직접살포 및 간접살포를 실시한 결과, 직접살포에서 일부 친환경농자재가 효과를 보였다.
        3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보조도구 사용실태와 아동의 장애유형과 자세보조도구의 종류에 따른 부모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2009년 7월 27일부터 동년 10월 9일까지 부산, 울산, 경남에 거주하는 뇌성마비 아동의 부모 19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QUEST) 2.0의 항목에 기초하여 개발하였다. 결과 : 뇌성마비 아동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세보조도구는 휠체어, 자세조절용 의자, 피 더 시트, 프론 스탠드의 순이었다. 휠체어 사용 아동 중 75%의 아동들은 자세지지를 위한 이너(inner)를 사용하였다. 뇌성마비 아동의 장애유형별 자세보조도구 기기 만족도에서는 내구성과 편안함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서비스의 만족도에서는 수리 및 유지관리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자세보조도구 종류별 만족도에서는 내구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서비스의 만족도에서는 서비스 전달 프로그램을 제 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기기 영역에서 편안함 항목은 아동의 장애 유형과 자세보조도구에 따라 모두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뇌성마비 아동들의 자세보조도구 사용실태와 사용 만족도 조사를 통해 자세보조도구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향후 적합한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자세보조도구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세보조도구와 아동, 환경 간에 적합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한국형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5,500원
        40.
        201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론 : 본 연구는 2005년과 2008년도에 실시된 장애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장애인보조기구의 보급서비스 현황과 사용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장애인보조기구 보급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론 : 2005년과 2008년의 장애인보조기구 보급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장애인의 보조기구 소지율은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2008년도에 새롭게 포함된 장애인보조기구 항목들이 있었다. 장애인보조기구 사용 및 구입 관련 보조기 사용 현황에서 필요한 장애인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사용이 번거로워서’와‘사용할 필요가 없어서’의 이유가 가장 많았고, 2008년도에는 '고장이 나거나 수리를 못해서 사용하지 않는다’는 대답이 증가하여 사후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장애인보조기구를 구입하지 않은 이유는 주로 ‘구입비용 때문에’로 보조기구를 구입하는데 있어 경제적인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었고, 장애인보조기구의 구입 경로는‘장애인보조기구 업체 매장에서 구입’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장애인보조기구 서비스 및 지원 부분에서는 전체의 1/4 정도만이 전문적인 상담과 평가 서비스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고, 사용 방법에 대한 설명을 받은 경험이 없는 장애인이 1/3을 차지하였다. 이로써 장애인보조기구의 공급이 장애인의 특별한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전문적인 상담과 평가 과정 없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장애인보조기구에 대한 지원의 형태는 주로 비용을 지원해 주는 방법이 대부분으로 임대를 통한 지원은 매우 미미하였고, 지원 사업(기관)은 대부분 공공기관 및 국가적 지원에 의존하고 있었다. 결론 : 전문적인 상담 및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장애인에게 꼭 필요한 장애인보조기구를 제공하고, 임대 형태의 지원과 고장과 수리를 위한 사후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국가 예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장애인보조기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민간 및 공공기관의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2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