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느타리버섯류는 가장 많이 재배되는 버섯 이다. 생산량으로는 크게 느타리, 큰느타리(새송이)로 구 분된다. 2005년 현재 버섯 총 생산량은 21만 톤이며 느타 리는 28.2%, 큰느타리는 21.4% 생산되어 거의 50%를 차지한다. 느타리버섯류는 다양한 종으로 여러 가지 자실 체 색깔을 가진다. 느타리종 자실체 갓은 일반적으로 회색 을 나타낸다. 최근 노랑느타리, 분홍느타리를 비롯하여 갓 색깔이 갈색, 백색, 흑색, 청색느타리가 개발되거나 개발 중이다. 느타리 회색계통 ASI 2194와 ASI 2487을 계통 간 균사접합으로 계통간 교잡체를 56개를 얻었다. 이들 대부분은 모균주와 동일하거니 유사한 자실체 색깔을 나 타내었다. 하지만 이 중에서 품종 '청'은 아주 균일한 청색 을 나타내었다. 어린 자실체는 진한 청색이며 성숙할수록 색깔이 옅어진다. 이 품종의 균사생장은 25∼30℃에서 양호하였고, 자실체 생장은 12∼16℃에서 양호하였다. 이 품종은 현재 품종보호출원 중이며, 일부 농가에서 확대 재배 시험 중이다. 이러한 다양한 빛깔의 느타리버섯류는 아직 소비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아 대량 소비처가 없다. 따 라서 학습농장, 버섯테마 농장, 주말농장, 음식점을 겸한 농장에 재배 활용하기를 권하고 싶다.
산느타리버섯(Pleurotus pulmonarius (Fr.) Quelet)은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송이과, 느타리 버섯속에 속하며 성숙한 갓의 모양은 폐모양이며 자실체는 여름에서 초가 을 사이에 침엽수의 죽은 부위에서 발생하며 항염증, 항콜 레스테롤, 항고지혈증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은 새로운 유망 야생버섯을 개발하 기위하여 강원도 내·외에서 수집한 산느타리버섯 10계 통에 대하여 균사배양 특성 및 병재배시 자실체 특성을 검 정하여 수량 및 품질이 우수한 GWM-20107 등 4계통을 1차로 선발한 후 선발된 4계통의 단포자 분리 및 4계통간 교배를 하여 교배계통 600계통을 육성하고, 육성된 교배 계통에 대한 2차 선발을 하여 강원도 자생종 수집계통인 GWM20107와 GWM20148 과의 교배계통으로서 Ppm- 430 계통을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Ppm- 430계통의 주요 특성으로는 자실체 발생온도는 16∼ 18℃, 생육온도는 15∼17℃이며 850㎖ 병재배가 적합하 며 병재배시 군사배양기간은 32일이며 균긁기 후 초발이 소요일수는 3.4일이었다. 자실체의 발생형은 다발형, 갓 의 단면 형태는 얕은깔떼기형, 갓의 색깔은 흑갈색, 대의 색깔은 흰색, 갓에 대한 대의 부착형은 편심형, 수량은 850㎖병당 102.2g이었으며 맛과 색깔이 양호하였으며 적합한 배지조성은 미송톱밥25+면실박20+콘코브25+ 비트펄프30%이었다.
표고 버섯 자실체와 균사체의 EST 분석으로 Unigene 1,582개를 선별 하였으며 Expected-value를 고려한 유 효유전자를 10개 선별하였다. BAD11817.1, BAD11816.1, BAD11818.1, BAA28693.1 은 100% 의 상동성을 나타 내었으며, BAD97446.1, BAA83550.1, AAD37722.1에 서 90%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고버섯 자실체 발생 관련 유전자를 분석하기 위해 기 발표 된 자실체 관련 발생 유전자 39개를 확인하였으며 GeneFishingTM DEG(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screening 방법으로 300 bp ∼ 1,200 bp 범위에서 발현 반복 실험을 통해 재현성이 있고 밴드가 sharp한 90 개를 DEG 분석으로 선별하였다. 그 중에서 26개의 DEG 밴드 를 골라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자실체에서 발현이 뚜렷하 게 보이는 유전자 6개를 확보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mino acid contents of golden mushroom and pink mushroom. The amino acid analysis was followed by AccQ-Tag method and HPLC on gradient conditions. Seventeen amino acids were analyzed and sixteen amino acids were found in golden mushroom ; fifteen amino acids in pink mushroom respectively. Among total amino acid in golden mushroom, cystein content was the highest and glycine, glutamic acid, proline were followed. Among total amino acid in pink mushroom, cystein was the highest and glycine, lysine, methionine were followed. As shown in Fig.1, 2, concerning amino acids, cystein was dominant. and alanine was detectied in golden mushroom but pink mushroom.
곰보버섯(Morchella esculenta)의 일반명은 'morel'로 불리며, 분류학상 진균문 자낭균아강, 곰보버섯과, 곰보버 섯속에 속하는 야생의 식용버섯으로 전 세계적으로 분포 한다. 국내에서 곰보버섯 자실체 발생은 4월 초·중순경 에 자연상태의 토양이나 밭이랑 또는 산간지역에서 산불 이 난 다음해에 많이 발생한다. 자실체는 자낭과를 형성하 고, 자낭과 표피에 8개의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이 버섯은 발생 기간이 짧고 단생형이며, 산발적으로 발생하므로 자 실체를 채집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본 시험에서는 농업과학기술원에 수집 보존된 곰보버섯 11균주에 대하여 분자생물학적 유연관계 분석을 통한 종 (species) 구분을 실시하고, 균주간의 배양생리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분자생물학적 유연관계 분석을 위하여 rDNA PCRRAPD와 sequencing을 실시한 결과, MKACC 50271, 50272, 50768이 그룹Ⅰ(M. crassipes; 굵은대곰보버 섯), MKACC 50364, 50621, 50914가 그룹Ⅱ(M. esculenta; 곰보버섯), MKACC 53347이 그룹Ⅲ(M. conica), MKACC 50855, 51008, 51009, 53729가 그룹 Ⅳ(M. elata) 등 4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균주별 균사생장 최적배지, 배양온도, 배지 pH는 동일 그룹이라도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MKACC 50855, 51008, 53729 는 배양속도가 1일 30 ㎜이상으로 빨랐고, MKACC 50271, 51347, 53729는 균핵 형성량이 많았다. 또한 공 시 균주들은 톱밥봉지 배양균사체의 양송이 복토를 이용 한 매몰재배 시험에서 자실체가 발생하지 않았다.
Agaricus blazei is well known as a traditional medicinal mushroom and it has been shown to exhibit immunostimulatory and anti-cancer activity. However, the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 of apoptosis of cancer cells is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whether A. blazei extract (ABE) exerts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effects on human leukemia THP-1 cells. It was found that ABE induced a time- and dose-dependent increase in leukemia cells apoptosis through caspase-3 activation and PARP cleavage. Activation of caspase- 9 induced by ABE suggested that ABE-induced signaling was mediated through a mitochondrial death pathway. In addition, we observed an elevation of ROS and a consequent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further suggesting that ABE-induced death signaling was mediated through a mitochondrial oxygen stress pathway. The antioxidant Nacetylcysteine, however, opposed ABE-mediated mitochondrial dysfunction, caspase activation, and apoptosis, supporting the role of ROS in the apoptotic process. We conclude that ABE induces apoptosisin human leukemia cells through a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aspase-dependent mitochondrial pathway.
Cordyceps militarisis well known as a traditional herbal ingredient, which has been used for patients suffering from cancer in oriental medicine.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biochemical mechanisms of anti-proliferative effects by C. militarisextract(CME) in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It was found that CME treatment induced chromatin condensation, mitochondrial energization, annexin V staining and sub-G1 phase DNAcontent. These indicators of apoptosis correlate with the mitochondrial dependent pathway, which results in the activation of caspase-3 activity. Both the cytotoxic effect by CME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z-DEVD-fmk, a caspase-3 inhibitor,demonstrating the important role of caspase-3 in the observed cytotoxic effect. Cotreatment of CME and LY294002, resulted in significantly induction of apopto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spase-3 is a key regulator of apoptosis in response to CME in human breast cancer MDAMB- 231 through downregulation of Akt, and that the C. militaris extract may therefore have therapeutic potential against human breast canc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inhibition of Propionibacterium acnes by mycelial culture broth of Paecilomyces japonica in the Mulberry leaf extract.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of P. japonica mycelial culture broth against P. acnes in various concentration of Mulberry leaf extract was the most effective in 3% Mulberry leaf extract. The inhibition effect of P. japonica mycelial culture broth against P. acnes in Mulberry leaf extract according to the culture time was the moust effective for 25 days cultivation. As the treating volume of the mycelial culture broth was increased,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against P. acnes was increased as well.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of mycelial culture broth against P. acnes according to the time of heat treatment was active by 45min at 100℃, while it was inactive at more than 60min. Taken together P. japonica mycelial culture in the Mulbarry leaf extract has a possibility to be an element of skincare cosmetics regulating the acnes. This means that the enzyme may be used for health-care such as thrombosis without any hamful behavour in the blood vessel.
The caterpillar-shaped Chinese medicinal mushroom (DongChongXiaCao) looks like a worm in the winter and likes a grass in the summer. The fruiting bodies of Cordyceps species have demonstrated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and used as traditional medicines in Asian countries. The price of wild Cordyceps have been ascending every year as their demand increase. Recently,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these fungi has been successfully established and they are currently produced on a rice or pupae medi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luble sugar, amino acid and fatty acid profiles in the fruiting-bodies of Cordyceps militaris, C. pruinosa and Paecilomyces. tenuipes formed on the living silkworm (Bombyx mori) host. Soluble sugars such as glycerol, glucose, mannitol and sucrose were found in the fruiting bodies of Cordyceps militaris, C. pruinosa and P. tenuipes. Total soluble sugar content was 29.23 ㎎g-1in C. militaris, 8.61㎎g-1 in C. pruinosa and 24.00 ㎎g-1in P. tenuipes on dry weight basis.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14.09 ㎎g-1in C. militaris, 34.60㎎g-1 in C. pruinosa and 17.09 ㎎g-1 in P. tenuipes. The content of oleic acid in fatty acids was above high more than 30% regardless of species.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는 주로 나비목 (Lepidoptera)의 유충 또는 번데기를 기주로 하여 주황색의 곤봉형 자좌를 형성하는 곤충기생균(Entomopathogenic fungi)의 일종이며 자낭각은 반돌출형이며 원통형의 자낭 안에 실모양의 자낭포자들이 존재한다. 동충하초속균의 유용성분은 자실체에서 약리효과가 알려졌는데 약용동충 하초로는 C. sinensis, C. hawkesii, C. martialis, C. militaris, C. ophioglogossoides, C. sobolifera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번데기동충하초가 생산하는 cordycepin (3,-deoxyadenosin)은 항세균,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번데기동충하초를 곡물을 기주로사용한 자실 체의 일반성분, 아질산소거능력, Tyrosinase 저해활성 능 력, DPPH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EtOH(70%)로 추출하 여 분석하였고, 또한 곡물배지 자실체를 상대로 Protease 활성검정, cordycepin 및 비타민류 함량 및 혈전용해능력 등을 조사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 곡물배지의 번데기동충하초 일반성분인 조지방(%)은 현미 및 흑미배지자실체에서 2.90, 2.08, 조단백질(%) 은 28.5, 11.2, 회분(%)은 5.6, 1.7 이었다. 나. 알코올 70% 추출물에서의 아질산소거능력은 pH 1.2 는 현미 및 흑미배지자실체에서 91.0, 92.1 pH 3.0는 78.1, 83.2, 번데기에서 자란 자실체는 pH 1.2는 89.6, pH 3.0는 85.1로 조사되어, 곡물배지자실체가 양호하였다. 다. Tyrosinase의 저해활성 눙력(%)은 현미 및 흑미배지 자실체에서 76.3, 69.6, 번데기배지자실체는 67.2로 조사되어 현미배지 추출물이 멜라닌색소를 억제하는 Tyrosinase의 저해활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라. DPPH(DiPhenyl-2-PicrylHydrazyl)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현미 및 흑미배지자실체에서 37.4, 32.6, 번데기배지자실체는 35.3으로 조사되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 검정깨곡물배지 번데기동충하초 자실체의 혈전용해 능력은 번데기배지의 자실체를 보다 23%로 가장 높 은 활성을 보였으며, protease 활성 검정은 검정깨배 지의 자실체에서 protease활성이 67%로 가장 높고 흑미배지의 자실체는 번데기배지자실체와 동일하였다. 바. 혈전에 관여하는 fibrin의 용해시간은 검정깨배지의 자실체에서 30분부터 혈전이 용해되기 시작하였고, 번데기배지자실체는 1시간 이후부터 용해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사. 현미곡물배지 번데기동충하초 cordycepin함량은 메 탄올(30%)분획에서 0.158㎍/12.5㎍(1.3%)로 곡물 에서 자란 자실체에서도 cordycepin을 확인하였다.
표고, 느타리, 양송이, 팽이등 버섯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생되고 있는 푸른곰팡이병은 그린몰드(green mold)가 그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피해는 심각하다. 푸른 곰팡이병을 일으키는 곰팡이로는 Trichoderma, Gliocladium, Aspergillus, Penicillum 등이 현재 알려져 있다. 푸른곰팡 이 병원균은 균사생장 시 균상에 발생하여 버섯균의 균사 생장을 방해하거나 기생하여 버섯균사를 사멸시키며, 버 섯수확기에 병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버 섯의 수확을 저하시키는 Trichoderma를 억제하기 위하 여 수목추출물 2종을 혼합한 다음 그 효능을 평가하였다. Trichoderma에 대하여 항균력을 나타내는 유효 화합 물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GC/MS를 이용하여 편백 휘발성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50개의 테르펜계 화합물이 존재한 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부분의 물질이 동정되었다. 편백 휘발성 추출물의 주요 화학적 조성은 모노테르펜류인 sabinene 11.62%, limonene 4.31%, isobornyl acetate 6.23%, α-terpinyl acetate 11.75%였으며, 세스퀴테르 펜류로 elemol 11.08%, β-eudesmol 4.02%, epibicyclosesquiphellandrene 4.18%가 나타났다. 소나무와 편백 추출물의 혼합비율 10 : 1(g/g) 제제는 T. aggressivum에서 20.4%, T. atroviride에서 14.0%, T. harzianum에서 32.0%, T. koningii에서 26.8%, T. viride에서 19.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richoderma 균주는 편백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균활성 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Trichoderma 균주는 편백 추출물보다는 소나무 열수추출물에 대하여 영향을 받았다.
푸른 곰팡이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매우 다양하며, 현 재까지 밝혀진 병원균은 Trichoderma spp., Gliocladium spp., Penicillium spp. 그리고 Aspergillus spp.로 이 중에서 Trichoderma spp.는 자낭균류에 속하는 Hypocrea spp.의 무성세대로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버섯의 병해 중에서 가장 방제가 어렵고 버섯의 발생 및 수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병의 하나인 푸른 곰팡이병은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하며 발생초 기에는 버섯균과 비슷한 백색을 띄다가 포자가 형성되면 서 황록색 내지 진녹색으로 변하고, 골목의 표면에 부정형 의 병반을 형성하면서 버섯균의 생장을 억제하여 결국에 는 버섯균을 죽게 한다. 현재 버섯 재배농가에서는 버섯균 사생장 기간동안에 푸른 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 하여 버섯배지 살균 전에 균상표면에 벤레이트, 판마쉬, 스포르곤수화제를 살포하는 것이 최대의 방제법이다. 따 라서 본 연구는 버섯 병해의 주범인 그린몰드(green mold)의 생장을 제어하기 위하여 수목추출물 및 nhexane 용해부의 효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목추출물의 그린몰드에 대한 항균활성은 T. aggressivum 34.7%, T. atroviride 35.7%, T. harzianum 34.9%, T. koningii 31.0%, T. viride 30.7%로, 평균 33.4%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T. atroviride에서 수목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n-Hexane 용해부의 그린몰드에 대한 항균활성은 T. aggressivum 52.3%, T. atroviride 65.6%, T. harzianum 47.1%, T. koningii 48.5%, T. viride 51.1%로, 평균 52.9%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T. atroviride에서 nhexane 용해부가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수목추출물과 n-hexane 용해부의 그린몰드에 대한 항 균활성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서 5% 수준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수목추출물과 n-hexane 용해부의 항균활성을 비교하 였을 때 수목추출물보다 수목 n-hexane 용해부에서 더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laccase 유전자를 겨울우산버섯 내에서 발현을 증가시 켜 리그닌 분해효소의 활성을 강화시키고 리그닌 분해능 이 강력한 균주를 얻고자 형질전환을 시도하였다. 겨울우 산버섯 형질전환용으로 개발한 pHYgpt 벡터에 laccase 유전자를 삽입하여 과발현용 pHYlac1 벡터를 제작하여 REMI 방법으로 형질전환을 실시하였다. 항생제가 포함된 선발배지로부터 각각 13와 28개의 균사체를 선별하였고 여기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벡터 primer로 PCR 수행하여 pHYgpt는 9개, pHYlac1는 23개의 형질전환체 가 확인되었다. 염료 (Poly R, RBBR)가 첨가된 고체배지 에 형질전환 균사체를 배양했을 때 pHYlac1 형질전환체 는 야생형 균주에 비해 비교적 높은 탈색능을 보였다. 액 체배지 배양에서 laccase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배지의 상 등액과 o-tolidine을 반응시켜 산화에 의해 나타나는 발 색의 정도를 분광기로 측정하였다. 벡터의 형질전환체는 전체 배양기간에서 야생형 균주와 활성이 비슷하게 나왔 으며 laccase가 과발현되는 pHYlac1의 형질전환체는 전 배양기간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배양기간과 균주에 따 라 차이는 보였지만 20일 전후에서 야생형 균주에 비해 10배에서 50배 이상 높은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형 질전환용벡터와 형질전환법을 통해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이용한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개발할 수 있는 형질전환 시스템이 안정적적으로 확립되었으며 앞으로 형질전환 체를 이용한 리그닌 분해와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환경 호르몬의 분해를 위한 기술 개발에 적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