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7

        26.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pid peroxidation is one of the main manifestations of oxidative damage and has been fou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oxicity and carcinogenesis of many carcinoge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flatoxin B₁ co-administrated with antioxidant vitamins on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s components of liver in mice. For this work, vitamin C and vitamin E, the major antioxidants, were administrated with 10 ㎎/㎏ and 63.8 ㎎/㎏ respectively, through intraperitoneal(i.p) injection to male ICR mice, and 0.4 ㎎/㎏ of the AFB₁ injected by i.p. lhr la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wo fold amounts of free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serum and liver of mice treated with only AFB₁ were observed, when compared to those of mice co-administrated with antioxidant vitamins. However, the levels of phospholipids in serum and liver of mice treated with only AFB₁ were decreased. Concerning to fatty acids composition of liver from AFB₁-treated mice, P/S ratio was shown more low level in cholesteryl ester,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phospholipid than those of mice co-administrated with antioxidant vitamins. In these data which provide with a reliable evidence on their antioxidantal effects to aflatoxicosis.
        4,000원
        28.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냉동 검은밀복어 10개체를 반 해동상태에서 근육, 껍질, 간장 및 내장으로 분리하여 독성검사와 총지질량을 구하였고 TLC로 조성을 조사하였다. Silicic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간유로부터 중성지질, 인지질 및 당지질을 분리하였으며 중성지질중의 DHA 및 EPA함량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검은밀복어의 총지질 함량은 간장 29.34∼36.54, 내장 4.95∼6.11, 껍질 1.12∼1.60 및 근육 0.23∼0.38%로 나타났고, TLC 분석 결과 다양한 지질성분으로 구성되었다. 그 중에서 triglyceride가 가장 많았다. 지질 함량이 가장 높은 간장 부위의 총지질의 지방산은 주로 palmitic acid(16:0), palmitoleic acid(16:1), stearic acid(18:0), oleic acid(18:1), EPA(20:6) 및 DHA(22:1)이었다. 포화지방산에 대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0.84)은 높았고, DHA와 EPA의 함량은 각각 15.99와 3.04%였다. 간유 중의 중성지질 95.46, 당지질 1.45 및 인지질 3.09%의 함량인데, 이 중 가장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중성지질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16:0), stearic acid(18:0), oleic acid(18:1), EPA(20:5) 및 DHA(22:6)로 나타났다. 그 중의 DHA와 EPA함량 비율은 각각 16.62와 2.41%로 나타났다. 한편, 간장내의 지질 추출 전과 후에 대한 독성치는 모두 무독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4,000원
        31.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preliminary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zone sterelization on the ginseng powder, the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organic acid content and sensory properties in ginseng powder treated with ozone was investigated. Ginseng powder was treated with 0.5 ppm ozone for 24 hours and 48 hours, respectively. With increase in ozone treatment time, the content of crude lipid and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decreased, whereas composition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 increased. Contents of unsaturated fatty acid-linolenic acid, linoleic acid, and oleic acid, etc.-decreased with ozone treatment time, whereas saturated fatty acid of same number-stearic acid-increased. Contents of organic acid were not shown significant changes. Ginseng odor, roasted odor, bitter taste, roasted taste and sweet taste were thicker with ozone treatment times, but pungent taste was thicker with those treatment. These changes of ordors and tastes of ginseng powder with ozone treatment were predicted by oxydation of lipids, flavor components and saponins.
        4,000원
        32.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rague-dawley 흰쥐를 고지방식이로 6주간 식이하면서 영지열수추출액을 경구투여하여 혈장, 간장 및 부고환조직에서 지방성분, 지단백질의 분포, 변 중의 담즙산과 중성스테롤들의 배출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을 얻었다. 고지방식이와 영지(GL군)열수추출액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유리지방산의 농도는 고지방식이로만 사육한 대조군(CON군)에 비해 낮았다. 한편 인지질과 HDL-cholesterol의 농도는 다소 높았다. 또한 간장과 부고환의 지방성분들을 조사한 경우에도 위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Low density lipoprotein(LDL)과 very low density lipoprotein(VLDL)은 고지방식이가 급여되는 동안 정상군 보다 대조군에서 증가하였고 영지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LDL과 VLDL은 감소하였으나 HDL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분변을 통한 답즙산과 중성스테롤의 배설량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지 투여군이 지방축적 및 고지혈증의 완만한 개선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000원
        33.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꽁치의 자연건조 기간 중 구성 지질과 구성 지방산의 함량 변화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꽁치의 자연건조 중 Total lipid와 수분 함량은 점차 감소하였고 건조 기간 중의 지질의 산패도 검사에서 과산화가는 점차 증가하였고 산가와 TBA 값은 9일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Total lipid의 중성 지질, 인지질, 당지질 함량은 각각 95, 4, 2%이었고 중성지질 중 TG의 함량이 90% 이상이었으며 인지질의 함량은 PC가 45∼58% 함량이었고, PE가 27∼34% 전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건조기간 중 Total lipid의 지방산 조성은 C_16:0, C_20:1, C_22:1, C_22:6의 함량이 대체로 높았고, 중성지질중의 지방산 함량은 C_20:1, C_22:1의 함량이 대체로 높았으며, 인지질 중의 지방산 함량은 C_22:6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당지질 중의 지방산 조성에서 단일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이 대체로 높았고 포화지방만 중 C_16:0함유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단일불포화지방산의 C_22:1함량은 점차 감소하였다. Triglyceride 중의 지방산 조성에서는 단일불포화지방산의 함유량이 높았고 그 중 C_20:1과 C_22:1함량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600원
        34.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of the content of fatty acids and cholesterol level in Raja Skates, the skate was purchesed from Yangdong Fisheries market in Kwangju, Korea. The experimental skate contained moisture 77.1%, crude protein 20.5%, crude lipid 0.68% and ash 1.72% as the general components. The fatty acids composition of skate are 28 kinds, such as 10 kinds of saturated fatty acid and 18 kinds of unsaturated fatty acid. There are 5 kinds of odd numbered fatty acid, such as C15:0, C17:0, C19:0, C25:0. Lignoceric acid shows 11% content. As an unsaturated fatty acid, getoleic acid, C22:1: selecholeic acid, C24:1:9, 12-hexadecadienic acid, C16:2: trans-linolelaidic acid, C18:2:13, 16-docosadienoic acid, C22:2: are analyzed as the particular one. The p/s ratio of skates is 1.02 and n-3/n-6 ratio of Skates is 0.82, respectively. The content of cholesterol level of Skates muscle is less than 20mg%, and liver contains 300-500 mg% and Nechang-tang contains 100mg% each.
        3,000원
        35.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생후 17주된 Sprague Dawley종 수컷쥐에게 식이지방량이 총섭취 열량의 40%인 고지방 식이시 n6 linoleic acid, n3 EPA와 DHA 지방산을 충분한 양의 tocopherol과 한께 6주간 투여하였을 때 이들 지방산이 plasma와 RBC, 간조직의 tocopherol, MDA함량과 간의 SOD, GSH-Px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Plasma tocopherol은 지방산의 불포화도가 높을수록 감소되었으나 plasma MDA는 식이 지방산 종류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RBC MDA는 n6 LA에 비해 n3 LL와 EPA + DHA에 의해 증가되었고 RBC hemolysis도 증가되었다 간과 RBC의 tocopherol 함량은 식이 지방산의 종류에 따른 영향이 없없으나 MDA함량은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간조직의 SOD와 GSH-Px활성은 식이 지방산의 불포화도가 높을수록 모두 증가되었으나 GSH-Px는 SOD에 비하여 식이지방산에 의한 영향이 덜하였다. 결론적으로, 고지방 식이를 할 경우 SOD와 GSH-Px 활성이 높아져도 RBC와 간조직의 MDA는 오히려 증가되어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막아주지 못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동물성 식품의 계속적인 섭취 증가로 식이중 열량과 지방의 양이 계속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인한 여러 순환기계질환의 예방을 위해 n3 PUFA를 섭취할 경우 결국 더 많은 tocopherol섭취가 필요할 것으로 사려된다.
        4,000원
        36.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rague-Dawley 흰쥐에 고지방식이로 6주간 식이하면서 천궁 열추출액을 경구투여하여 혈장, 간장 및 부고환조직에서 지방성분, 지단백질의 분포, 변중의 담즙산과 중성스테롤들의 배출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지방식이와 천궁(CR군)열수추출액을 각각 투여한 흰쥐의 혈청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유리지방산의 농도는 고지방식이로만 사육한 군(CON군)에 비해 낮았다. 한편 인지질과 HDL-cholesterol의 농도는 다소 높았다. 또한 간장과 부고환의 지방성분들을 조사한 경우에도 위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지방식이가 급여되는 동안 정상군보다 대조군에서 low density lipoprotein(LDL)과 very low density lipoprotein(VLDL)이 다같이 증가하고 high density lipoprotein(HDL)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천궁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LDL, VLDL이 감소하였고 HDL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천궁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분변을 통한 담즙산과 중성스테롤의 배설량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천궁투여군이 지방축적 및 고지혈증의 완만한 개선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37.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xamine the productivity,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forage rye at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fourteen varieties of rye were sown at Nov. 13, 1992 at the plot of experiment farm of Crop Experiment Station, Mokpo Branch, and over
        4,000원
        39.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상사료내의 지질에 철분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사료(Common feed)와 물을 혼합한 비정상 사료내에 Vitamin E와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정상사료(P<.05)와 비정상사료(P<.01)내의 Vitamin E 함량은 1.75mg/g(실험 1일째) 로부터 0.25mg/g(실험 11일째)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 2. 정상사료내의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23.8mg/g(대조군)로부터 17.6mg/g(20% 철분 혼합군)로 역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P<.01). 3. 비정상사료내의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23.9mg/g(대조군)로부터 17.4mg/g(20% 철분 혼합군)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P<.01). 4. 정상사료내의 Vitamin E와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비정상사료내의 함량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정상사료와 비정상사료내의 Vitamin E와 유리불포화 지방산에 있어서 날짜 경과별 및 철분 혼합 수준별 간의 상호작용이 인정되었다.
        4,000원
        40.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쥐의 암컷에서 유리불포화지방산, 인지질, creatinine 및 prostaglandin의 혈액내 함량을 측정하여 실험 동물로써의 생리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또한 임신일수와 분만후 경과시간에 따른 이들 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여 임신과 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예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마리의 임신하지 않는 쥐를 대조군으로 하고 임신한 쥐 35마리를 5마리씩 7군으로 나누어 (5개의 임신군과 2개의 분만군) 100일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쥐 암컷의 혈청내 유리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의 범위였고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임신21일군이 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2) 쥐 암컷의 혈청내 인지질 함량은 의 범위였고 임신21일군과 분만후 36시간군이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지만, 각 실험군 및 전체임신군과 전체분만군의 평균함량간에는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3) 쥐 암컷의 혈청내 creatinine 함량은 의 범위였고 각 실험군간에 현저한 차이가 안정되지 않았지만, 임신21일군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4) 쥐 암컷의 혈액내 prostaglandin 함량은 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임신9일(), 12일() 및 15일()군 등이 낮은 수준인데 비하여 임신18일군()부터 대조군보다 증가되기 시작하여 임신21일군()과 분만후 12시간군()까지 계속 증가하여 최고수준에 달했으며 분만후 36시간군()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p<0.01)차이가 안정되었고 특히 전체임신군의 평균함량이 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고, 전체분만군의 평균함량이 로써 대조군과 천체임신군의 평균함량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5) 쥐 암컷의 혈청내 유리불포화지방산, 인지질 및 creatinine 함량은 임신일수와 분만후 경과시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않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임신말기와 분만후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6) 쥐 암컷의 혈액내 prostaglandin 함량은 분만개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