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버섯학회지 KCI 등재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6권 제2호 (2008년 6월) 53

21.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큰느타리버섯 재배에 있어 원균의 보존 및 증식기술은 아주 핵심적인 부분으로 취급되고 있다. 이를 위해 대부분 의 농가에서는 상업용 합성배지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 으나 과도한 비용부담은 균주 관리 소홀로 이어져 종균제 조에 있어 많은 피해를 야기 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섯재배에 이용되는 배지재료를 이용하여 합성배지를 대체할 수 있는 원균증식용 천연배지 제조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각각의 배지 재료를 이용하여 조합한 뒤 열수 추출된 것을 원균증식을 위한 고체배지로 이용한 결과 포 플러:밀기울:미강 (50:20:30, v/v) 또는 포플러:밀기울:미 강 (50:30:20, v/v) 조건에서 합성배지 (36.3mm/7일) 보다 우수한 균사생장능력을 보여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들 천연배지에서 유래된 큰느타리버섯 원균을 이 용하여 버섯재배에 이용한 결과 에서도 균사배양 기간이 23.6일 정도로 합성배지를 이용한 배지 (24.7일) 보다 약 1.0 일정도 단축되었으며, 버섯의 정상적인 생육 및 수확 도 가능 하였다.
22.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t up proper moisture content of substrate and relative humidity during fruit-body induction and growing period in oyster mushroom. The proper moisture content for mycelium incubation of Suhanneutari1ho was 65∼ 70% and that of Chunchu neutari2ho was 70%. at that condition, it took 13 days to finish spawn running and the yield of Suhanneutari1ho and Chunchuneutari2 ho were 2.36kg/0.2㎡, 2.44kg/0.2㎡ respectively. The higher relative humidity in growing room, the less moisture content in substrate and the higher relative humidity in growing room, the more moisture content in fruit body during the growing period. In Chunchuneutari2 ho, when the volume of 5 per days was put on the bed and relative humidity was keep about 90%, the yield was 2.35kg/0.2㎡. In Suhanneutari1 ho, the water supply on the bed, when relative humidity was keep about 90%, the yield was 2.29kg/0.2㎡
23.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새송이버섯은 톱밥 배지에 미강 및 대두박 등의 부원료 를 첨가하여 병 재배법으로 생산하고 있지만 배지원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자들은 지리산권 역 서부경남에서 한방재료로 대량 생산되고 있는 오갈피, 두충, 홍화대 및 야생 쑥 등의 지역특성에 적합한 배지원 료를 이용하여 새송이버섯의 상품화를 시도하였다. 한방 약재는 재배농가로부터 직접 구입하여 자연건조한 후 5℃ 에 냉장보관 하면서 사용하였다. 각종 한방약재가 버섯의 균사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오갈피, 쑥 및 홍 화대는 새송이버섯 균사생장을 촉진하였으나 두충은 오 히려 균사생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갈피 및 쑥 등의 최적첨가농도 검토를 위한 평판배양에서는 10~15%의 첨가량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톱 밥배지에 오갈피 및 쑥 등을 첨가한 후 병 재배법으로 새송이버섯의 균사성장을 검토한 결과도 평판배양법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오갈 피와 쑥 첨가배지를 이용하여 실제 버섯재배농가에서 새 송이버섯을 생육시킨 결과 버섯의 균사성장이 촉진되고, 육질이 단단한 새송이버섯의 자실체를 수확할 수 있었다. 이후는 성분분석을 통한 한방새송이버섯의 차별화를 위 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24.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effect of Cryptomeria japonica sawdust and branch on the Production of Fruiting body of Pleurotus eryngii. Quantity of fruit body was lower in 5.2things/ bottle but yield of fruit body was higher in 3.5things/ bottle about big fruit body than Douglas-fir sawdust medium on C. japonica sawdust medium, so yield of fruit body was more 45g than Duglas-fir sawdust medium. But in the C. japonica branch sawdust medium, both quantity of fruit body and yield of fruit body was remarkably lower 13.3things/bottle, 42.8g/bottle respectively than Duglas-fir sawdust medium.
25.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남지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새송이 버섯 폐 배지 산출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남 진주인근의 농장을 방문하여 면적당 배지 원료 투입량을 조사한 결과 평당 3 kg의 원료가 투입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지의 원료는 농장 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주원료로서 옥수숫대 와 톱밥을 사용하였고 그 외 미강, 콘코프, 소맥피, 건비 지, 비트펄프 등을 부원료로 사용하였다. 원료는 잘 혼합 한 후 배양병에 담아 수분함량을 68% 되게 조절한 다음 살균하여 사용하였으며 종균 접종 후 40일 정도 배양하였 고 폐배지의 수분함량은 61.32%였다. 종균을 접종한 배 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사생장에 의해 배지 표면이 점차 흰색을 띄었으며, 균사체에 의해 배지의 결속력이 강 해져 덩어리를 형성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양이 끝난 폐배지는 배지에 비해 엷은 갈색을 띄었고, 폐배지 전체에 균사체가 골고루 퍼져 있었으며 버섯특유의 향과 함께 자 실체 잔여물이 남아있었다. 새송이 버섯 생육단계에 따른 단계별 영양성분의 함량 변화를 살펴보면 건물함량은 최 초 175.2 g/병이었으나 최종 폐배지 단계에서는 145.6 g/ 병으로 16.8% 정도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목에서 cellulose, lignin, NFC, OM, CP, TP, NPN, EE, ash, TDN의 양보다 자실체 단계에서 소실되는 양이 유의 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ADF-CP(dmk)함량 은 자실체에 의한 손실보다는 균사체에 의한 손실이 유의 적으로 높았다.
26.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양송이 단위면적당 생산성의 감소원인을 재배 품종의 퇴 화로 판단하여 품종을 대체하였으나, 생산성은 증가되지 되지 않았다. 그래서 그 원인을 배지재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 상호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 조사와 시 험을 수행하였다. 양송이 재배농가의 입상시 퇴비량은 표준입상량 120∼ 150kg/3.3㎡보다 작은 100∼120kg/3.3㎡으로 배지 두 께가 기존보다 30∼40% 정도 감소된 것으로보였다. 입 상전 양송이퇴비의 질소함량은 최고 1.81%, 최저 1.37% 로 1농가를 제외하고 표준 전질소 함량 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현상은 근본적으로 첨가제량이 적거나, 인건비를 절감하기위하여 모든 첨가제를 볏짚더미 위에 올려놓고 포크레인으로 혼합하는 과정에서 볏짚배지에 고르게 혼합되지 않고 바닥으로 떨어져 질소함량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농가에 따라서는 전질소 함량이 반복 간 에 편차가 ± 0.4%로 매우 심한 경우도 있었다. 전탄소 함량 역시 31.4∼42.0%로 농가간 그 편차가 심하였다. 질소함량별 및 배지량별 농가현장 시험에서는 배지조합 시 질소원 수준이 1.5%, 배지량은 150kg에서 수량이 가 장 높았으며, 3주기에 연부병의 발생으로 높은 수량을 얻 지 못하였다. 이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배지에 따라 생산 성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27.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웰빙식품으로 소비자들로부터 각광받는 기능성버섯을 생산할 목적으로 한의원 등에서 폐기처분되고 있는 한약 슬러지를 이용하여 기능성한방느타리 버섯을 생산하기 위한 배지개발을 행하였다. 한약 슬러지는 시내의 한의원 에서 당일 착즙된 슬러지를 무작위로 채취하여 5 이하에 냉장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폐면배지와 한약 슬 러지의 최적혼합비율 검토를 위한 평판배양에서는 한약 슬러지를 105 상압건조 후 분말형태로, 병 재배에서는 수거한 한약 슬러지 자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평판배양 에서 한약 슬러지의 첨가농도를 0~15% 범위로 조정하면 서 검토한 결과 10% 전후의 첨가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폐면배지에 한약 슬러지를 혼합하여 병 재 배법으로 느타리버섯의 균사성장을 검토한 결과도 10% 전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30 에서 5시간 건조시킨 후 수분 유지율을 검토한 결과 한약 슬러지의 함수율이 폐 면배지 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한약 슬러지 의 일반성분을 분석하여 기존 폐면배지와의 C/N 비율 등 을 조절하여 실제 버섯재배 농가에서 느타리버섯을 생육 시킨 결과 느타리버섯의 생육기간이 3∼5일 정도 단축되 고 버섯의 생산량이 10% 정도 증가하였다.
28.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양송이 단위면적당 생산성의 감소원인이 병해충의 발생 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 상호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병해충발생 및 미생물 밀도를 조사하였다. 재배농가에서 주로 발생하는 병해는 먹물버섯과 연부병 의 발생이 가장 심하였으며, 그 외에 푸른곰팡이병, 부패 병, 갈반병, 찻잔버섯, 세균성갈반병 등 다양한 병해가 발 생하고 있으며, 기존의 발생병해인 마이코곤 및 괴균병 등 과는 다른 발생양상을 보이고 있다. 해충으로는 버섯파리 와 응애가 발생하였고 특히 버섯파리는 계절에 관계없이 다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가 심각하다. 재배사 공기중 미생물 밀도조사에서는 대조구인 해안가의 세균밀도는 1.3cfu/100ℓ, 곰팡이는 0cfu/100ℓ으로 매우 낮으나, 재배사 내부의 세균과 곰팡이는 135.7cfu/100ℓ, 285.0cfu/100, 외부는 53.0cfu/100ℓ, 83.0cfu/100으로 세균보다 곰팡이 밀도가 더 높았다. 재배사내의 곰팡이 밀도가 높은 것은 병발생 퇴비, 복토 및 자실체의 방치, 재 배사 바닥 곰팡이 발생, 냉풍유도 터널 바닥 및 환풍기의 오염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이들의 방역을 위해서는 위해 성이 낮은 살균 소독제의 선발이 시급하다. 소독약제로는 재배사 공기중 분리세균을 대상으로 0.005% 처리에서도 저지원을 나타내는 벤잘코늄액이 살 균효과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29.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표고 노지재배는 자연적인 재배로 충남지역은 그 기술을 많이 축적하고 있다. 이 노지재배의 장점은 활엽수나 침엽 수의 그늘을 이용하는 것으로 시설비용이 적게들고, 봄 가 을에 고품질의 건조표고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 만, 특히 우기에는 표고가 강우를 흡수하여 품질이 열화되 고, 온도와 습도변화의 자연조건에 따르다보니 고품질생 산을 쉽게 조절하지 못하는 면이 크다는 것이다. 하지만 노지재배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동절기 동안 비닐을 덮어서 표고원목의 온도와 습도를 조 절하여 봄의 화고생산이 2월말경부터 가능하게 되었다. 이 조사보고는 2007년 12월 25일부터 2008년 1월 20일까지 비닐덮기 원목주변에서 온습도 변화를 알기 위하여 HOBO 온습도 data logger에 기록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이 기간동안 비닐 덮은 표고원목 주위는 덮지 않은 곳보 다, 최고온도는 5.8℃로 덮지않는 경우인 7.4℃보다 1.6℃ 낮았고, 최저온도는 -8.9℃로 비닐 피복하지 않는 원목주 위 -11.7℃보다 2.8도 높았다. 평균온도는 -0.3℃로 비 피복의 -0.8℃보다 0.5℃ 높았다. 한편 습도는 비피복원 목에서는 3- 3%로 변이가 매우 컸으나 피복원목부위에 서는 거의 대부분 86-98% 범위를 유지하였다. 이 결과 는 동절기비닐피복이 봄철 화고생산을 앞당기고 증산하 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30.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diversification of materials for sawdust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adding effects of corncob and cottonseed meal on sawdust cultivation. All treatments of corncob except 100% corncob have produced fruiting-bodies. Mushroom productivity of the fungus was decreased from 174g to 45g per 2kg sawdust-based substrate in proportion to increasing corncob contents in sawdust cultivation. Meanwhile, in treatments including less than 20% cottonseed meal, the mycelial growth of the fungus was similar to control. But, the other treatments were not suitable for the mycelial growth of fungus on sawdust-based substrate. All treatments of cottonseed meal did not produce the fruiting-body of the fungus.
31.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elucidate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 for artificial cultivation of Grifola frondosa, light condition and CO2 concentration have been examined. First, the effects of light quality(blue, green, white) and light intensity(200, 500, 800, 1200 lux) on primordia formation, fruit body yield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Grifola frondosa in bag culture method were tested. Among different color fluorescents, white light(400∼620 nm) had a high mushroom yield(242 g) and a shorter cultivation period(52 days) In particular, morphological properties of G. frondosa using blue light(400∼560 nm) was obtained a wide and deep colored pileus. We also investigated that the appropriate light intensity for production of G. frondosa.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500 lux light was the most effective on mushroom production, whereas, primordia formation was effective at 200 lux. In summary, we propose that the optimal light condition for the bag culture of G. frondosa is white source of fluorescent light and 500lux of light intensity. Second, G. frondosa were cultivated at four CO2 level, 500, 800, 1000, and 1500 ppm after spawning. Comparison in production of fruit body in G. frondosa better result were obtained at lower CO2 levels below 800 ppm. The higher ratio of primordia formation, faster time of primordia initiation and days to harvest(57 days), higher yields and quality of fruit body at lower CO2 levels below 800 ppm than higher that over 1000 ppm, whereas shape of fruit body at higher CO2 levels over 1000 ppm were showed abnormal and lower quality.
32.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흰목이버섯 균주와 공생균을 수집하고 ITS 5.8S rDNA sequencing을 하여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였다. Gene Bank Data homology search 결과 분리된 균의 rDNA 서 열이 이 Tremella fuciformis AF042409의 rDNA 서열 과 99%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함께 분리 된 공생균은 같은 방법으로 Annulohhypoxylon stygium 으로 확인하였다. 분리된 T. fuciformis KG 103과 A. stygium KG 201 균주는 PD배지에서 각각 14 ㎜/14 days과 85 ㎜/14 days의 균사생육을 나타내었다. T. fuciformis KG 103 균주의 생육최적온도는 25℃ (14mm/14days) 이었으며, 35℃이상 고온과 15 이하 저 온에서 균사 생장이 억제되었다. A. stygium KG 201은 흰목이버섯균과 유사한 최적온도를 나타내었다. T. fuciformis KG 103 균의 생육 최적 pH는 5.0이었으며, A. stygium KG 201도 pH 5.0에서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다. 흰목이버섯 종균용 최적 배지로 참나무톱밥 77.5%, 미 강 20%, 석고 1.5%, 황백당 1% 가 선정되었다. T. fuciformis KG 103과 A. stygium KG 201혼합 종균을 제조하고 흰목이버섯 자실체생산을 위한 병속재배 방법 을 확립하였다. 콘코브(Corn cob) (77%와 52%)가 사용 한 재료 중 최적의 자실체 성장률을 나타냈으며, 콘코브 함량을 줄일수록 생육이 저조하였다. 면실박과 참나무톱 밥은 단독 사용시 생육이 저조하였고, 콘코브를 첨가시 수 율이 증대되었다. 최적수분농도는 55%로 결정되었다 .
33.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송이버섯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북아메 리카, 유럽, 호주 등 전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특히, 이 버섯은 북반구의 온대지역에서 소나무속에서 널리 분 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버섯은 너비가 70 cm까지 자라고 자실체 생중량이 6kg까지 크게도 자란다 (Schmidt, 2006). 또한 김 등(1990)에 따르면, 꽃송이버 섯에 의한 낙엽송의 심재부후목은 직경이 28∼32 cm, 부 후근단면적은 47.3∼74.4%, 부후가 진전된 높이는 1.2∼ 5.5 m 까지 달하였고, 전체부피의 27.2%까지 피해를 받 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어 이 버섯에 의한 낙엽송 심재부후 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꽃송이버섯은 1997년에 일본에서 처음 재배되기 시작 하였다. 특히, 이 버섯은 다른 버섯에 비해 베타글루칸 함 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더욱 세간의 관심을 모으게 되었 다(Ohno 등, 2000).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몇몇 업체에서 버섯재배가 상업화되어 가고 있으나, 이 버섯에 대한 기본 적인 생태조사는 거의 되어 있지 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위치한 전남 구례지역에서 꽃송이버섯이 자생하는 기주식물의 특성과 발생환경을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꽃송이버섯 자생지의 입지조 건을 분석하였다.
34.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업과학기술원 응용미생물과에서 수집 보존 중 인 Paxillus curtisii 등 45속 71종의 총 71균주에 대해 육종 모본으로서의 가치를 탐색하였다. 우선 이들의 자실체의 발생 유무와 특성을 조사하기위하여 톱밥배지를 사용한 병재배를 통하여 자실체 형성을 유도 하였다. 이 중 Panus rudis(참버섯), Hericium coralloides (산호침버 섯), Coprinus verrucispermus, Collybia erythropus, Pycnoporus coccineus (간버섯), Oudemansiella mucida (끈적긴뿌리버섯) 등의 자실체 발생이 좋았으며 Gymnopilus spectabilis (갈황색 미치광이 버섯) 같은 독 버섯도 발생이 용이하였다. 또한, 이들이 분해력을 검정하 기위하여 Poly-R 시약을 이용한 간이 검정을 실시한 결 과, Criolus hirusutum가 분해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Laccase 효소 활성도는 Mycena rorida, Xeromphalina cauticinalis가 가장 높았으며 Criolus hirusutum도 높은 활성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자실체발생이 용이한 Hericium coralloides, Oudemansiella mucida 등은 식용 버섯의 육종 모본으로, 난분해성 간이검정 효과결과에서 보면 Criolus hirusutum, Mycena rorida, Xeromphalina cauticinalis, Criolus hirusutum 등은 생물정화분야에 좋 은 자원이 적용되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5.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소 를 함유하고 있으며 함암활성, 면역증가 효과 및 황산화 효과 등의 약리효과가 있다. 약용버섯인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균사체의 액체 배양 발효공정 개선을 위한 균사체 배양조건의 최적화와 β-glucan 생성을 극대 화 할 수 잇는 배지 개발 및 배양시간에 따른 β-glucan의 함량 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배양 온도는 28℃, 초기 pH는 5,5, 통기량은 0.50 vvm에서 균사체의 생육 및 β-glucan 생성이 양호하였다. 균사체 배양을 위한 최 적배지 (RGP배지)는 증류수 1L 중에 glucose 50 g, 미강 추출물 30 ml, peptone 10 g, malt extract 5g, K2HPO4 1 g 및 MgSO4·7H20 1 g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배지에서 7일 배양 후 얻은 균사체량 및 β-glucan 함량은 각각 35.9 g/l 및 34.0%(w/w) 이였다. 3%의 미강추출물 첨가시 균사 생육 및 β-glucan의 함량 증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양시간에 따른 β-glucan의 함량 및 glucose 량의 변화는 72시간까지는 β-glucan의 함 량 이 9.2%(w/w)였으나, 96시간부터는 19.3%(w/w)로 급격 히 증가하였고 잔존 glucose량은 배양시간 72 시간까지 는 3.5% 이상을 유지 하였으나 96시간부터는 3.0% 이하 로 떨어졌다.
36.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은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작목 중의 하나로 전체 재배면적은 2002년 1,212 ha에서 2005년 1,359 ha 로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의 경우 2004년 595 ha에서 2005년에555 ha로 약간 감소 하였고, 양송이(Agaricus bisporus) 또한 2004년 196 ha에서 2005년에 176 ha로 약간 감소하였다. 최근 느타리와 양송이버섯에서 갈변증상을 보이는 병반에서 여러 병원균이 분리 동정되어 보고 되고 있으며, 이들 중 세균성 병해는 갈반병(brown blotch), 미이라병(mummy disease), 세균성부패병 (bacterial rot), 세균성구멍병 (bacterial pit), 위축병 (weeping disease) 등이 알려져 있 다. 비록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한 세균성갈반병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지만, 세균성 갈반병에 관여하고 있는 병원균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많은 논쟁이 되어오고 있다. 이 연구는 버섯재배 과정 중 발생하고 있는 갈변증상으 로 부터 분리한 세균의 분포, 특징 및 그 병원성을 조사하 고자 수행 하였다. 버섯 재배 중 갈변증상을 보이는 병반 으로 부터 60균주의 세균을 분리한 결과, 13균주가 흰색 침강선(white line)을 형성하였고, 우점균은 P. tolaasii (13균주)와 Ewingella americana (12균주)였다. 또한 병 원성 검정에서는 느타리버섯에 32 균주, 양송이버섯에 29 균주가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느타리버섯 재배 중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한 세균성갈반병은 갓과 대에 전형적인 진한갈색의 움푹 패인 병징을 나타내었고 수확 기 버섯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려 농가에 심각한 피해를 주 고 있다. 그리고 장내세균과 (Enterobacteriaceae)에 속 하는 E. americana는 양송이의 대속 갈변과 관련있는 병 원균으로 양송이 대속괴사병 (internal stipe necrosis)의 원인균으로 밝혀졌다. 이 병의 증상은 수확을 한 후에 확 인이 가능하고 대의 중앙에 갈변증상을 일으켜 상품가치 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들 분리균주를 여러 버섯에접종시 험을 한 결과 전형적인 갈변증상을 보였고, 특히 양송이의 대속에 접종하였을 경우 괴사 증상이 뚜렷하였지만, 일반 적인 세균성 무름병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 하나의 특징적 무름병 세균인 Burkholderia gladioli pv. agaricicola가 느타리버섯의 갈변증상으로 부터 분리되었 으며, 이 균주는 양송이, 느타리버섯, 큰느타리에 강한 병 원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느타리버섯에서의 초기 병징 은 P. tolaasii에 의한 세균성 갈반병과 구별하기 힘들며, P. tolaasii 보다 강한 갈반의무름증상을 보였다. 이들 분 리균 중 E. americana와 B. gladioli pv. agaricicola는 버섯 병원균으로 분리동정은 국내에서 첫 보고로 생각된다.
37.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버섯의 소비량은 국민소득 증가와 함께 생산량과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총 생샌액은 약1조원 으로 농림업의 2.1%를 차지한다. 우리나라 버섯류는 느 타리, 팽이, 표고, 큰느타리(새송이), 양송이가 거의95% 이상을 차지하며 이중 느타리버섯이 총생산량의 35.1% 를 점유하여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가장 많은 실정이다. 느 타리 (Pleurotus ostreatus)의 경우 2004년 595 ha에서 2005년에 555 ha로 약간 감소하였고, 단위면적당 수확량 은 '91년 41kg에서 '04년에는 29kg/3.3㎡으로 감소하였 다. 이는 병해충의 발생에 의한 생산성의 불안정과 국내가 격의 하락에 의한 농가수입 감소로 재배기피 현상이 발생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느타리버섯 균상재배 시 균상내 미생물상의 다양성을 구명하고 이들 미생물과 버섯균과의 상호작용 및 병원성과의 연관간계를 구명하 고자 수행하였다. 균상내 배지의 미생물상은 생육기간이 길어질수록 호기성세균 및 사상균의수가 증가하였고, 내 열성세균 및 형광성 Pseudomonas속은 종균 접종 초기에 높은 밀도를 보였다. 고온성 방선균은 전 생육기간 고른 분포를 보였지만 중온성 방선균은 재배과정 중 존재하지 않았다. 특히 발효 및 생육이 불량한 배지의 경우 접종 60 일에 사상균의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더 이상 버섯재배 가 불가능하였다. 생육시기별 분리세균의 버섯균주에 대 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살균 및 후 발효 초기에는 저해정 도가 적었으나, 생육이 진행될수록 저해균의 수가 증가하 였다. 또한 이들 분리세균은 균체 자체보다는 균이 내는 분비성물질에 의해 버섯균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균상배지에서 분리한 세균의 동정결과 Bacillus sp.와 Flavobacterium sp.이 우점하였으며, 세균 성갈병균인 P. tolaasii균도 분리되었다. 이는 세균성갈반 병균이 배지내에 존재여 생육함으로 재배환경이 열악해 지거나 버섯의 생육이 불량할 경우 심한 피해를 줄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분리세균은 세균성갈반병균에 대해 약 13%만이 아주 약한 길항성은 보였으며, 분리 세균과 버 섯의 발이와 생육 그리고 병원성에 대한 상관관계는 추후 면밀한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38.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ystoderma list of the species found in Korea is composed of 6 species(Lee & Lee 2000). Cystoderma in Korea is Cystoderma amiaanthinum, Cystoderma carcharias, Cystoderma fallax, Cystoderma granulosum, Cystoderma japonicum and Cystoderma terreii. As the member of Lepiotaceae, Cystoderma belongs under Eumycotina, Basidiomycotina, Eubasidimycotina, Hymenomycetidiae, and Agaricales. Its outer pileus of Cystoderma is serrate radially, a small scale is scattered its peridium. And stipe has a small annulus attached to it. spores is subspore or fusiform, white and it has pseudoamyloid. Each shape, size, shine and quility of fruiting body of Cystoderma is different in the breed and it is important sources of a classification of Cystoderma. Especially, the shapes and colors of various scaly which are on the surface of the fungus are important to the external classification.
39.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ushroom is the only microorganism cultivated as the crop, and Plerotus ostreatu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dible mushrooms. Efficient production of edible mushrooms relies on the precise control of fruiting body development, and an identification of the molecular mechanism of fruiting body development has commercial and scientific importance. In order to identify the developmentally regulated genes during fruiting body development, cDNA libraries were constructed from eight developmental stages of the P. ostreatus. From these libraries, 11,761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were generated. Based on these results, we performed macroarray analysis using 1,528 unigene clones at three developmental stages of mycelium, fruiting body and basidiospores. Plasmids isolated from these clones were blotted on the nylon membrane. The isotope-labelled cDNA probes for hybridization of the northern blot were prepared from total RNAs isolated from three developmental stages of mushroom. The 33, 14, 10 unigenes were very highly expressed in mycelia, fruit body and basidiospores, respectively. To confirm expression pattern of these genes, RT-PCR was performed using the total RNA isolated from three developmental stages. Seven genes were successfully amplified in RT-PCR. The expression patterns of the genes were similar with that in macroarray. One of seven genes was identified as a 12kDa heat shock protein and its expression level was very highly at fruiting stage, but not detected at mycelium stage.
40.
2008.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서 느타리버섯류는 가장 많이 재배되는 버섯 이다. 크게 느타리, 큰느타리(새송이)로 구분된다. 2005년 현재 버섯 총 생산량은 21만여 톤이며 느타리는 28.2%, 큰느타리는 21.4% 생산되어 거의 50%를 차지한다. 느타리는 버섯 생육 시 산소공급을 위하여 환기가 필수적 이므 로 재배사내에서 외부기온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계절에 따라 알맞은 품종을 선택하여야 에너지 절감과 생 산량을 높일 수 있다. 최근까지 보급된 느타리버섯류 77 개 품종을 계절별로 상자재배 하여 온도 적응성에 대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봄∼여름 재배 시 높은 온도(16 이상)에 적응성이 강한 품종(내서성이 강함) 으로는 사철느타리종, 여름느타리 종, 분홍느타리종의 8개 품종들이 속하였다. 봄∼여름 재 배 시 높은 온도에 적응성이 다소 강한 품종(내서성이 다 소 강함)으로는 느타리종 51개 품종으로 나타났다. 춘추2 호는 수량성이 아주 높지만 균상재배에서 16 이상 처리 되면 자실체 발생이 급격이 줄어들면서 곧 전혀 발생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가을∼겨울 재배 시 낮은 온도(11 이 하)에 적응성이 다소 강한 품종으로는 느타리종 64품종 으로 나타났다. 원형느타리는 봄재배보다는 겨울재배에 적응성이 높았다. 원형느타리는 낮은 온도에서 자실체가 발생은 되지만 저온이 지속되면 대가 항아리처럼 굵어지 면서 짧아진다. 원형느타리는 폐면보다는 볏짚배지 재배 에서 다발성이 더 크게 형성된다. 사계절 재배 시 적응성 이 다소 강한 품종으로는 49개 품종으로 나타났다. 이 중 에서도 적응성이 높은 품종으로는 김제8호, 김제9호, 김 제10호, 부평복회, 부평흑단4호, 삼구5호, 삼구8호, 삼구 9호, 삼구황학, 수한, 신농12호, 왕흑평, 장안2호, 장안3 호, 장안5호, 장안7호, 치악5호, 치악7호, 한라1호 등이다. 큰느타리, 아위느타리, 전복느타리종은 균사생장이 느려 오염이 심하여 상자재배에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품종 특성 구명은 품종의 계절별 올바른 선택으 로 에너지 절감과 생산성 향상에 의한 농가소득에 기여할 것이며, 나아가 농가와 종균배양소간의 분쟁해소, 품종육 성자의 개발 품종에 대한 상대적 위치, 육종모본 선택, 농 가지도 사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