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작물학회지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 49권 S호 (2004년 12월) 42

21.
200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의보감에 수재되어 있는 약쑥은 식용뿐만이 아니고 한방에서는 출혈 및 지혈약으로 자궁출혈, 임신중의 출혈, 코피지혈 등에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부인병과 건위, 설사치료와 항암활성, HeLa cell에 대한 억제작용도 보고되어 있다. MeOH엑스가 HCl-EtOH유발법, 1~% 암모니아 수용액 유발법, HCl-aspirin 유발법등에 의하여 유발된 위 손상에 대하여 강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flavonoid의 일종인 eupatilin으로 확인된 바 있다. 이 물질이 5-lipoxygenase inhibitor (ID50=14×166M ) 작용과 prosta glandin synthase의 활성을 약간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 약쑥의 eupatilin과 jaceosidin을 분리하여 그 화학구조를 구명하였다. 이를 지표물질로 하여 HPLC 분석조건과 HPLC용 검체의 조제, 표준검량선을 작성하였다. 강화사자발쑥 100 g의 잎에는 eupatilin은 240 mg, jaceosidin은 10 mg함유되어 있고 싸주아리쑥에는 eupatilin은 330 mg, jaceosidin은 123 mg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