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KCI 등재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9 No. 4 (1996년 12월) 32

21.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간장해에 미치는 녹각의 효과를 밝힐 목적으로 녹각을 성분별로 추출 분리하여 급여하고 galactosamine으로 간장해를 유도한 후 녹각추축물이 간기능 유지에 관여하는 효소활성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생화학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Cytochrome P-450은 녹각추출물이 급여로 증가하였으며 갈락토사민 투여로 감소하였으나 neutal-ext.군에서 높은 증가를 보였다.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갈락토사민 투여로 감소하였으나, 논각 추출물 급여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간조직의 글루타티올 함량은 녹각추출물 급여로 유의적 변동이 없었으며 갈락토사민 투여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의 녹각 추출물 급여군에서 감소하고 특히 water-ext.군에서 감소정도가 가장 현저하였다. 간조직중의 총 지방질, 총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의 녹각추출물 급여군에서 감소하였으며, water-ext.군에서 가장 많이 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녹각의 water-ext.과 neutral-ext.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 간기능 유지에 관여하는 효소합성 증가를 통해 활성증가를 유도하고, 이로써 독성의 대사를 촉진시키므로 간독성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같은 녹각추출물의 작용이 생체에 흡수되어진 xenobiotics의 해독작용과 연관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2.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풋감을 30일간 저온저장(7℃) 및 냉동저장(-20℃)하면서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의 일반성분은 저장방법이나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며, 조섬유 함량은 냉동저장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냉장저장시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냉장, 냉동저장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나 냉동저장의 경우 증가 폭이 매우 컸다. 총펙틴 함?c은 저장기간이 연장에 따라 감소하였고 수용성 펙틴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냉동저장인 경우는 그 증가나 감소 정도가 매우 적었다, 탄닌 함량은 냉동저장시는 거의 변하지 않았으나 냉장저장한 경우는 크게 감소하였다.
4,000원
23.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산침지법을 이용하여 4℃ 냉장시의 돼지고기 햄의 APC, GNC, pH, 및 관능평가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3분동안 1.0∼3.0%(v/v)초산을 처리한 구는 12일 저장동안 GNC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3분동안 3.0%초산을 처리한 구는 12일 저장동안 APC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0∼3분동안 1.0∼3.0% 초산을 처리한 구는 12일까지 미생물학적 저장안정성을 확장하였다. 초산으로 처리한 돼지고기햄의 관능평가는 유기산 냄새 및 표백으로 인하여 신선한 돼지 고기 햄보다 낯은 등급의 기호성을 보였다.
4,000원
24.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홑파래로부터 황산기를 함유한 다당체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정제하여 rhamnan sulfate가 항보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항보체 활성능력은 F-4-3 획분을 비교군으로 Heparin H-180, Dextran과 비교해 결과 비교군보다 높았고, C4a와 C3a의 convertase의 형성과 기능을 F-4-3 획분이 억제하였다. 이러한 보체 활성화 양식은 classical pathway 및 alternative pathway로도 경유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5.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능성 다이어트 식품을 개발을 목적으로, 키토산과 견 피브로인의 복합체를 만들고 성질을 조사하였다. 키토산은 대동새우로부터 추출하였고, 견사 피브로인 섬유는 누에로부터 추출하였다. 견사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용해도를 조사한 결과, 용해도는 8M LiBr이상의 농도와 40℃ 이상에서 가장 높았다. 견사 피브로인의 아미노산 조성은 천연견사 및 용해시킨 피브로인과 같았다. 키토산, 견사 피브로인 복합체의 아미노산 조성은 glycine, alanine, serine, tyrosine, threonine 및 glutamic acid 순서를 많았다. 또한 IR 스펙트럼 결과, 키토산·견사 피브로인 복합체는 배합비율에 따른 스텍트럼상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3,000원
26.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유자(Citrus junos)껍질의 향기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동결건조한 유자과피분말을 4, 000psi와 40 에서 운전하면서 이산화탄소의 소비량에 따라 4단계로 분획하여 분획별 향기성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대한 유자의 향기 성분의 수율은 0.011g/CO_2(L)였으며, 최대추출수율은 8.812g/kg이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한 유자과피의 주요향기성분은 dl-limonene, γ-terpinene, linaollo, sabinene, β-myrcene, α-pinene, β-farnesene, α-terpineol 과 terpinolene 등 9종이었다. 분획별 향기성분은 휘발성이 높은 α-pinene, β-myrcene과 dl-limonene은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이와 반대로 휘발성이 낮은 α-terpineol과 β-farnesene은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유자의 향기성분을 추출할 경우 추출시간에 따라 얻어지는 분획의 향기 성분 조성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3,000원
27.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들깨를 150℃에서부터 210℃까지 10∼30분간 볶아서 착유한 들기름에 존재하는 갈색물질의 갈색도와 전자제공력과, 또한 기호성 및 산화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들기름으로 추출한 갈색물질은 들깨의 볶는 온도와 시간이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들깨는 210℃에서 30분간 볶아 착유한 들기름으로부터 추출한 갈색물질은 150℃에서 10분간 볶은 것에 비해 13배 정도 증가하였다. 한편 볶음조건에 따라 착유한 들기름 중의 갈색물질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전자제공력은 볶음온도와 시간 증가에 따라 향상되었다. 210℃에서 3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 중의 갈색물질은 150℃에서 10분 볶은 것에 비해 전자제공력이 약 3배 증가하였다. 기호성이 가장 우수한 들기름에 산화 안정성이 가장 좋은 들기름을 5∼20% 혼합한 15% 혼합량 것 중 기호도와 산화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210℃에서 3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 중의 갈색물질은 190℃에서 2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의 산화 안정성을 증가시켰다.
4,000원
28.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ur liquid 발효가 식빵의 제조조건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Lactobacillus brevis와 Lactobacillus plamtarum을 혼합배양하면 sour dough bread 사용 유산균중 산생성력이 가장 높았고 pH도 낮았다. Sour liquid 발효 제조시 제빵의 제조조건에 가장 적합한 배양조건, 배양온도, 시간 및 배지의 조성에 대해 실험하였다. L. brevis와 L. plantarum의 배양은 30℃에서 24시간 하였다. 배지조성중 글루코오스를 2% 첨가하고 영양원으로서 yeast extract 0.4%를 첨가한 것의 결과가 가장 좋았다. Sour liquid ferments를 제빵제조시 중종 (sponge dough)에 넣었을 때 반죽의 pH를 4.64까지 낮추어 주어 발효력을 증가시켰고, total titratable acidity (TTA)도 보통 식빵의 0.46%보다 높은 0.54%를 나타내었다. 품질평가에 있어서, sour dough liquid를 이용한 식빵의 경우가 보통식빵보다 비용적(specific volume)이 좋았다. 맛과 외형 특히 관능적인 품질(향취)이 증가되었다. 이는 유산균이 생성한 초산, 젖산 및 아미노산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보인다. 제품을 25℃에서 6일동안 저장하면서 노화도를 측정한 결과 보통식빵 보다 노화지연에 훨씬 효과적으로 나타났고 Sour liquid ferments는 유산균 등이 생성한 유기산들이 곰팡이의 생육을 억제하여 제품의 저장기간이 연장되었다.
4,000원
29.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찰김치의 종류와 담그는 법 등에 대하여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를 하였다. 사찰김치의 종류는 약 50여종이 구전으로 내려오고 있다. 그러나, 본 결과에 의하면 20여종의 김치가 현존하고 있다. 사찰김치의 종류는 지역에 따라, 기후조건에 따라,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료에 따라 차이가 있다. 사찰김치의 특성은 감미료로써 감초를 사용하고, 젓갈류 대신 간장이나 된장을 사용하는 점이다. 앞으로, 남아있는 김치의 계승과 보존을 위하여 더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30.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내 일부 지역의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일반환경, 식생활 환경, 영양소 섭취실태를 설문조사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영양섭취와 각 변인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부모연령은 40∼49세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학력은 고졸이 높게 나타났으며 동거 가족수는 4∼5명, 가족의 한달 수입은 100∼150만원이 가장 많았고, 일주일 용돈은 5천원이상이 45.8%이었다. 평균신장은 160.2㎝, 평균체중은 52.3kg, 비만도는 96.8, BMI지수는 20.3, R hrer지수는 1.27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저체중 쪽으로 기울어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은 자신의 바람직한 체중을 표준체중보다 낮게 설정하고 있었으며 저체중군과 정상군일수록 비율이 높았다.(P<0.001) 한편 식습관 점수는 44.17점으로 낮았고 46.7%가 poor group에 속해 식습관이 불량하였다. 1일 1인당 섭취열량은 권장량의 86.4%인 1814㎉, 단백질은 107.7%인 70g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과 비타민 A, 비타민 C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양소는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다. 영양소 섭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학력과 월 총 수입, 식사횟수, 식습관 점수 등였다. 식습관 점수는 부모의 학력, 수입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식습관 점수가 높을수록 1일 식사횟수, 간식횟수도 증가하였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조사대상 여고생들은 자신의 체형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고, 자신에게 바람직한 체중도 낮게 설정하고 있고,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 실태를 보이고 있다. 여고생들의 불량한 식습관과 저체중 선호하는 실태를 보이고 있다. 여고생들의 불량한식습관과 저체중 선호하는 경향이 다음의 성인기로 이어져 자유로운 식행동을 하게 될 경우 더 큰 문제점을 야기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건강한 체형에 대한 바른 판단과 올바른 식습관의 정립을 위하여 학교와 가정에서의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4,000원
31.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두유에 해조류(미역, 다시마, 김, 파래, 청각) 마쇄물을 10% 혼합(대두에 대하여 1∼5%)하여 20% Mgcl_2로 만든 해조두부와 일반두부의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 미역첨가 두부가 가장 양호하였다. 두부수율은 일반두부에 비하여 김, 청각 첨가두부만이 낮았고, 단백질함량은 파래첨가 두부만 낮았다. 해조두부의 관능평가결과 미역첨가 두부가 맛, 색, 조직감이 우수하여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두부의 무기질 함량은 청각첨가 두부가 가장 낮았고, Mg, K, Ca, Na순이었다. 미역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의 두부보다 수율, 단백질, 및 무기물 함량이 증가하였고, 관능평가결과 1% 첨가시양호하였다. 이때 Ca, K등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미역마쇄물을 1% 첨가한 두부는 경도는 감소하였으나 탄성, 점성, 씸힘성, 껌성이 증가되었고, Hunter색도는 L, a값이 저하되었으나 b값이 증가되었고,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히스티딘, 티로신, 루신, 페닐알라닌만 감소하였다. 티로신과 리신은 뚜렷한 변화가 있었고, 지방산 함량은 포화지방산 및 일가불포화지방산은 증가하였으나 다가불포화지방산은 약간 감소하였다.
4,000원
32.
199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은 참깨의 주요 소비국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공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참깨에 대한 연구는 1973년 이후부터 시작되었으며, 총 121편의 학술논문이 발표되었다. 그 주요 주제는 참깨의 성분 분석, 참깨의 조성, 참깨의 육종 재배와 참기름의 진위 판별이었다. 식용시 매우 중요한 것은 향미성분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참깨의 품종간의 차이, 배전 조건, 추출 여과의 조건 등이 이었다. 이것으로써 참깨에 대한 더 면밀한 연구와 관능 검사에 대한 확실한 연구가 요구되며, 참기름의 압착수율의 향상, 참깨박의 이용 등이 부족함을 알았다.
4,000원
1 2